검색결과
  • 지방자치백서를 보고

    6일 내무부는 지방자치백서를 발표했다. 이 백서는 과거에 실시했던 지자제가 주민의 자치의식결여, 자치제도자체의 결함, 운영상의 결함, 자치재정능력의 부족 등으로 말미암아 주민복지

    중앙일보

    1968.04.08 00:00

  • 선거관계법개정의 기본방향

    「여· 야<합의의정서」에 따라 오는 4월말까지 법개정을 끝내기로한 선거관계법의 이른바「보장입법」작업은 공화·신민양당이 각각 법개정요강을 마련함으로써 이제 구체적 논의의 단계에 들어

    중앙일보

    1968.03.06 00:00

  • 정세변화의 기본파악

    지난 21일밤 북괴「게릴라」 31명이 서울시 심장부에 침투하여 살상을 자행한 충격적인 사건의 발생에 뒤이어, 23일하오에는 미해군정보수집보조함「푸에블로」 호가 동해의 공해상에서 북

    중앙일보

    1968.01.24 00:00

  • (6) 은퇴선수들의 한마디|유도

    유도가 근대「스포츠」로서 세계각국에 널리 보급되고있는 요즘 우리나라는 그 경기수준과 인구면에서 현저한 발전을 거듭하고있지만 세계정상의 꿈은 한번도 실현되지 못했다. 역사가 길고 또

    중앙일보

    1968.01.10 00:00

  • (끝)교육

    67년 교육계의 최대의 사건은 의무교육 시설확충 5개년 계획의 착수. 71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이 계획은 전국 국민학교의 1부제 수업에 학급정원 60명을 수용할 것을 지향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7.12.23 00:00

  • 직업관과 사회교육 대표집필 고영복|한국·오늘과 내일의 사이(46)|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

    수입많아야 높이평가 우리나라에서의 과거의 직업관은 이른바 토농공상이라는 서열의식이 엄게 지배했던 전통적 사회의 구조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직업은 사회적 분신과 밀접히 연결되어

    중앙일보

    1967.11.16 00:00

  • (36)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캠페인」|「커뮤니케이션」과 언어의 의미 - 대표집필 정인섭

    「그리하야」보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 과정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위치가 중요시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서 또는 각 개인의 사회적 지식 수준의 향

    중앙일보

    1967.09.07 00:00

  • (34)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한국인의 민족성 - 대표집필 최재희

    일제의 멍에에서 해방 된지 22주년, 국치이후로 따져서 57주년을 맞아 우리가 「한국인의 민족성」을 논의하는 모임을 가진 것은 참으로 의의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향상하려고 하

    중앙일보

    1967.08.24 00:00

  • (4)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캠페인」|근대화와 전통문화 - 대표집필 전해종

    근래에「근대화」라는 말이 하나의 유행어처럼 쓰여지고 있다. 행정의 근대화니 경영의 근대화니 하는 말들이 그것이다. 근대화라는 말을 그렇게 쓸 수 없는 것은 아니나, 그런 경우에는

    중앙일보

    1967.01.26 00:00

  • (1)|한국사상의 확립-박종홍|

    한국사상은 곧 한국사람의 생활신조를 의미한다 그것에 의하여 살며, 그것 때문에 죽을 수 있는 우리의 신조다. 그러기에 그것은 한갓된 이론이나 학설 이상의 것이요, 더구나 어떤 방

    중앙일보

    1967.01.01 00:00

  • 제5회 아주대회의 교훈

    어제로써 제5회 아세아경기대회가 폐막되었다. 대회에 참가했던 우리 나라 선수단과 관계임원 일동의 건투를 치하한다. 70년의 제6회 대회는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된 만큼 이번 대회

    중앙일보

    1966.12.21 00:00

  • 행정의 과학화

    행정개혁조사위원회는 65년2월부터 행정진단을 실시하여 그 결과의 일부로 지난13일 박대통령에게 조세행정과 양곡행정에 관한 보고를 하였다. 양곡행정에 대하여는 장·단기수급계획의 수립

    중앙일보

    1966.10.15 00:00

  • "중도" 재확인

    앞으로 4년간 소련의 진로를 밝힌 제23차 소련공산당대회는 아무런 극적 변화도 없이 견실하게 중도를 걸어나가려는 현「브레즈네프」·「코시긴」중심의 집단지도체제를 재확인했다. 이 체

    중앙일보

    1966.04.11 00:00

  • (1)「알피니즘」의 내력|싹튼「인간과의 우정」

    산은 인간의 고향. 그리고 그것은 인간 본래의 아성. 우리의 조상들은 산에서 신화를 얻었고 종교를 익혔고 생활을 펴기 시작했다. 산에다 생명을 부여하고 산신을 찾아내던 빛나는 예지

    중앙일보

    1966.03.08 00:00

  • 곡가의 폭락

    최근의 지나친 곡가의 폭락은 행정부는 물론 정계의 커다란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적정 가격 선보다 저위의 수준이라는 평도 없지 않은 정부 매입 가격보다도 5백원이나 낮은 2천6

    중앙일보

    1966.01.17 00:00

  • 「염상섭 재고」(1)|김치수

    자연주의라는 말이 언제부터 이 땅에서 쓰이기 시작했는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염상섭의가 발표된 1920연대가 아닌가 생각된다. 『염상섭의 는 염상섭의 초기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중앙일보

    1966.01.15 00:00

  • 주민등록법 개정이 방첩의 유효한 수단이 될 수는 없다

    최근 천인 무도한 무장간첩의 도량은 전국민의 새로운 각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북괴가 이와 같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흉악한 간첩들을 침투시키고 있는 이유는 더 말할 것도 없이

    중앙일보

    1965.10.28 00:00

  • 하와이대학 이학수 교수 특별기고

    곰페츠(Gompertz)씨의 고려자기에 대한 꾸준한 연구 외에는 예술방면도 부진상태이다. 「에칼트」의 미술사는 고사하고라도 수년 전에 나온 「메큔」(McCune) 여사의 미술사는

    중앙일보

    1965.10.02 00:00

  • 「경제자립에의 도정」어디까지 왔나?

    아무리 가기 싫다해도 가야하는 길. 갈 수 없대서 중단하면 모든 것이 끝을 알리는「경제 자립의 길」이다. 이 길을 닦지 않는 한 정치적 독립이 완전할 수 없고 이 길이 황폐해 있으

    중앙일보

    1965.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