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유학 7년…귀국판화전 갖는 박숙희씨

    64년에 도독, 판화와 미술사를 공부하고 돌아온 박숙희씨의 판화전이 19일∼23일 명동화랑에서 열린다. 『동판화, 석판화, 「실크·스크린」등 35점인데 주로 흑백의 판화들이에요.

    중앙일보

    1971.11.17 00:00

  • 57개 직업훈련소 신설

    정부는 17일 직업훈련·직업안장·기능검정사업 등을 위해 총 투자 규모 2백22억2천6백만원에 달하는 제3차 인격개발 5개년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오는 72년부터

    중앙일보

    1971.11.17 00:00

  • 토속적인 소재의 생활화에 역점

    곽계정씨의 제2회 창작공예전이 6일∼11일 신세계화랑에서 열리고있다. 고유의 완초공예에 현대적인 감각을 대담하게 불어넣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곽 여사는 작년에 이은 이번

    중앙일보

    1971.07.10 00:00

  • 젊은 지성의 잔치 100일|제2회, 전국대학 문화예술축전 개막

    제2회 전국대학 문화예술 축전이 21일의 대학미전으로 그 막을 올린다. 이 행사는 서울대 등 20개 대학학생처장들로 구성된 실행위원회(위원장 김연준·한양대 총장)가 주최하고 예 총

    중앙일보

    1971.06.21 00:00

  • 한국 회화사의 체계화|정치학교수 이용희박사의 이례적 업적

    우수안 고서화 수장 가의 한사람인 이용희씨가 처음으로 본격적인 한국 회화 사를 집필했다. 법학박사로서 서울대에서 국제 정치학을 강의하고 있는 이 교수는 미술사학을 전공하는 학계 인

    중앙일보

    1970.12.17 00:00

  • 김창억·김우혜씨 부부 서양화·칠보 합동 전

    그 동안 다섯번의 개인전을 가졌던 서양화가 김창억씨 (51·홍대 미술교육 과장)가 부인 김우혜 여사의 칠보 작품을 곁들여 첫 부부 전을 24일∼28일 국립 공보관에서 연다. 『두

    중앙일보

    1970.10.23 00:00

  • 우리 나라 첫 시공예전|장윤우씨

    동양화 및 공예 전공의 시인 장윤우씨가 24점의 작품을 갖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공예전을 열고 있다. 20일∼25일 서울 국립 공보관에서의 전시가 끝나면 전주·목포·서귀포·제주시를

    중앙일보

    1970.07.21 00:00

  • 대학 1백16개학과 폐합

    문교부는 올해 안에 대학의 유사학과와 지나치게 세분된 학과를 대폭 폐합할 방침이다. 문교부는 대학교육연구위의 건의를 받아 들여 현재 전국의 대학(초급대학 포함)에 있는 2백96개학

    중앙일보

    1968.10.31 00:00

  • 현실파고든시인

    「이탈리아」의시인이며 1959연도「노벨」문학상수상자인 「살바토레·콰지모도」옹이 지난14일뇌일혈로별세했다. 향년 67세. 1901년 8월20일「시실리」섬의「모디카」에서태어난「콰지모도

    중앙일보

    1968.06.18 00:00

  • ② 공예 고미군양

    그 많은 자연의 신비로운 색깔을 우리생활주변의 여러 가구에 옮겨 담기 위해 공들이고있는 규수 공예가 고미군양이 오늘도 책속에 파묻혔다. 『너무 일찍 추천작가가 된 것 같아요. 실속

    중앙일보

    1968.01.20 00:00

  • 신·증설·증원학과

    괄호 안의 숫자는 67년도 과별청원 증은 증설, 신은 신설, 폐는 폐지 ◇서울대 ▲공대=조선20(20)항공20(증)전자화(20)금속화(30)원자력30(20)응용수학20(10)화학응

    중앙일보

    1967.11.25 00:00

  • (3)비 대통령부인 이멜다·마르코스 여사

    「필리핀」 제6대 대통령 「마르코스」의 부인 「이멜다·R·마르코스」(34) 여사는 「마닐라」에서 탄생, 2차 대전 중엔 일본군에 쫓겨 「레테」섬에서 피난생활을 했으며 그후 다시 부

    중앙일보

    1966.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