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권영빈 칼럼] 고구려를 찾아서

    평양에 가면 고구려가 보인다. 평양 시가를 벗어나 자동차로 20여분 거리에 대성산성이 있다. 밑에서 보면 얕은 야산 같지만 정상에 오르면 북쪽은 험준한 벼랑이고 남쪽엔 광활한 평야

    중앙일보

    2004.08.12 18:33

  • 일본 '광개토대왕비 탁본' 중국관에 진열해 오해살 판

    일본 '광개토대왕비 탁본' 중국관에 진열해 오해살 판

    ▶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이 중국 서예.회화 작품을 진열하던 곳에 광개토대왕 비문의 탁본을 전시하고 있어 많은 관람객에게‘비문=중국 유물’이란 오해를 낳고 있다. 9일 이런 지적을

    중앙일보

    2004.08.09 18:33

  • [분수대] 고구려

    [분수대] 고구려

    #장면 1 : 고구려 멸망(668년) 110년 뒤인 778년 중국 산둥(山東)성에 치청(淄靑) 왕국이 등장한다. '구당서'에 따르면 왕국 설립자는 고구려인 이정기(李正己)다. 왕

    중앙일보

    2004.08.09 18:22

  • 외교부 간부, 중국 기자들과 고구려사 놓고 설전

    지난 3일 낮 12시30분쯤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 부근의 한정식집. 연례 한.중 기자교류행사 참석차 방한한 환구시보(環球時報).베이징청년보(北京靑年報) 등 중국 주요 언론사

    중앙일보

    2004.08.05 06:35

  • [학생기자 코너] 北에서 온 고구려, 그 감동이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5세기께 동아시아를 호령했던 고구려! 하지만 나에겐 다른 나라 역사처럼 멀게만 느껴졌었다. 역사책을 통해선 자주 접해봤지만 고구려 관련 유적이나 유물을 한

    중앙일보

    2004.06.07 16:47

  • 中, 고구려 환도산성 궁궐터 첫 공개

    中, 고구려 환도산성 궁궐터 첫 공개

    고구려 초기 전시(戰時) 도성이었던 환도산성(丸都山城)내 궁궐터를 발굴한 사진(上)이 공개됐다. 중국 국가문물국은 최근 발간한 '2003년 중국 중요 고고발현(考古發現)'에 지난해

    중앙일보

    2004.05.31 17:52

  • "고구려는 조선史의 주권국가"

    "고구려(BC 277~AD 688년)는 조선역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 자주적인 주권국가였다." 북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희승 교수의 주장이다. 조교수의 '고구려는 조선의 자

    중앙일보

    2004.03.26 09:52

  • "고구려는 조선史의 주권국가"

    "고구려(BC 277~AD 668년)는 조선역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 자주적인 주권국가였다." 북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희승 교수의 주장이다. 조교수의 '고구려는 조선의 자

    중앙일보

    2004.03.25 17:47

  • [사람 사람] 박한설씨, 국내성 천도 기념우표 등 자비로 발행

    [사람 사람] 박한설씨, 국내성 천도 기념우표 등 자비로 발행

    "이 우표와 엽서가 고구려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중국이 고구려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이른바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논란인 가운데 예맥

    중앙일보

    2004.02.05 18:08

  • "고구려는 우리 역사"

    "고구려는 우리 역사"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기네 역사에 넣으려는 계획을 구체화하며 우리나라와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은 2002년 2월부터 국가 차원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통

    중앙일보

    2004.01.26 18:24

  •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사에 대한 중국 학계의 입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중국 동북지역 역사연구의 권위자인 쑨진지(孫進己) 선양(瀋陽) 동아(東亞)연구센터 주임이 본지에 기고문을 보내왔다. 孫주

    중앙일보

    2004.01.25 16:06

  • 네티즌 '고구려 지킴이 운동' 빛본다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에 포함하려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에 대항한 네티즌들의 '고구려 지킴이 운동'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2

    중앙일보

    2004.01.25 11:15

  • [고구려는 살아있다] 고구려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우리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을 비판하며 곧잘 잊는 사실이 하나 있다. 중국이 한족(漢族) 등 56개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라는 사실이다. 단일민족 국가인 우리로서는 쉽게 이

    중앙일보

    2004.01.20 16:59

  • "集安의 태왕릉은 광개토대왕릉" 우석대 조법종 교수 주장

    "集安의 태왕릉은 광개토대왕릉" 우석대 조법종 교수 주장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 '태왕릉(太王陵)'의 주인이 고구려 광개토대왕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물이 국내 학자에 의해 확인됐다. 광개토대왕비와 인접한 이 능에서는 그간 '태

    중앙일보

    2004.01.13 18:29

  • [역사 속의 천도] 上. 고구려는 왜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나

    [역사 속의 천도] 上. 고구려는 왜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나

    천도란 가장 강렬하고 극적인 사건이게 마련이다. 왜냐햐면 수도를 옮기는 일에는 각 사회 계층의 이익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대국가의 수도는 단순히 정치.행정의

    중앙일보

    2003.12.14 16:46

  • [교양] '샹그리라를 찾아서'

    "내게 중국이란 무엇인가?" 한국 문학비평의 큰 봉우리인 김윤식(서울대 명예교수.명지대 석좌교수)씨는 지난 10여년간 이 화두를 품고 살았다. 그래서 그간 중국을 열 차례 다녀왔다

    중앙일보

    2003.12.05 17:08

  • 中, 고구려 유적 대대적 정비 나서

    中, 고구려 유적 대대적 정비 나서

    중국의 고구려 유적들이 달라지고 있다. 이는 내년 고분 벽화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로 보인다. 고구려연구회 서길수(59.서경대 교수)회장이 지난달 말 KBS '일요스

    중앙일보

    2003.10.13 17:37

  • [아그그 21] 국제대학스포츠연맹 外

    1.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이 2년마다 개최하는 세계학생스포츠대회는? 대학과 올림픽의 합성어며, 21일 대구에서 하계대회가 개막된다.(11-1) 2.중국 지안(集安)에 있는 고

    중앙일보

    2003.08.18 17:33

  • "고구려 첫 首都는 오녀산성"

    6일 코엑스 특별전시장에서 막을 올린(3월 5일까지) '특별기획전 고구려!-평양에서 온 고분벽화와 유물'은 고구려 문화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살아있는 '역사 교실'이다. 고구려

    중앙일보

    2002.12.10 00:00

  • 위인을 통해 보는 한민족 우수성

    교육방송 EBS가 '혼탁한 시대에 불을 밝힌다-인물로 보는 반만년 한국사'란 거창한 구호를 내 걸고 '한국인물사 연속특강'이란 기획시리즈를 방송한다. 12월 2일부터 1월 23일

    중앙일보

    2002.11.30 00:00

  • 충남대 권오엽 교수 광개토왕비 새로 해석

    "광개토왕비는 단순한 능비(陵碑)가 아니라 왕실 교육용 텍스트다." 충남대 권오엽(權五曄.57.일어일문학)교수는 최근 펴낸 『광개토대왕 비문과 일본의 기기(記紀)신화』(보고사)에서

    중앙일보

    2002.01.23 00:00

  • [독서 칼럼]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

    광화문에서 금화터널을 나와 신촌으로 향하기 전 안산(鞍山) 기슭에 봉원사(奉元寺) 라는 오래 된 절이 있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대학으로부터 멀지 않아 점심 때 가끔 산책을 가곤

    중앙일보

    2001.12.15 10:23

  • [독서 칼럼]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

    광화문에서 금화터널을 나와 신촌으로 향하기 전 안산(鞍山) 기슭에 봉원사(奉元寺)라는 오래 된 절이 있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대학으로부터 멀지 않아 점심 때 가끔 산책을 가곤

    중앙일보

    2001.12.15 00:00

  • 독자적인 고대 동아시아 세계 재구성한 『만들어진 고대』

    언제, 어떤 시점에서 관찰하느냐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 역사다. 특히 고대 동아시아사는 근대 국민국가의 정치적 민족적 위상을 반영하기 때문에 민감하게 취급돼왔다. ‘

    중앙일보

    2001.11.16 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