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래를 향한 과학 21세기의 세계|쾌적한 해저생활

    고층 「빌딩」의 숲을 이루고 있는 육지에는 일반주택이 없다. 출근은 해저 1백미터의 자택에서 해중의 「하이웨이」를 통하여 육상의 사무실로 향한다. 근무를 마치면 「하이웨이」를 따라

    중앙일보

    1968.09.21 00:00

  • (219)시원한 이야기

    과연 유행의 나라! 요새는 또「바캉스·붐」으로 요란스럽다. 5만원, 10만원, 20만원 보따리를 싸가지고, 대천·속초·강릉·해운대를 찾는「일행」이 무수히 있다. 그러나 며칠 뒤에

    중앙일보

    1968.08.16 00:00

  • 산촌해촌의 여성들|민속조사단 현지보고

    우리나라서 처음구성된 전국민속조사단은 금년도 전남지구를 택해 7월20일부터 도내의 산촌·어촌에서 표본조사를 베풀고 있다. 여기 의담당조사원으로 참가한 김희진씨는 구례 거문도강진에서

    중앙일보

    1968.08.08 00:00

  • (155)세계의 바캉스(1)-한국

    8월의 첫휴일-백만을 넘는 인파가 전국의 산을 찾아, 바다를 찾아 34도의 더위를 쫓기에 진땀을 뺐단다. 중앙일보 해외취재망을 통해 세계의 이름있는 피서지를 찾아 지상「바캉스」를

    중앙일보

    1968.08.06 00:00

  • 피서인파 30만

    7월의 마직막 일요일인 28일 30만명의 인파가 뚝섬·광나루·한강등물가에몰려 33도의 뜨거운 열기에 솟는 땀을 물에씻었다. 중복을 하루 앞둔 이날 뚝섬에 12만, 광나루5만, 용산

    중앙일보

    1968.07.29 00:00

  • 햇빛본 4천고본|도산서원 장서조사

    우리나라 유학의「메카」인 안동 도산서원에서 4백년간 간수해오던 수다한 책이 처음으로 정리, 조사됐다. 성균관대학이 구성한 학술조사반은 지난 14∼17일에걸쳐 한국이 낳은 가장 뛰어

    중앙일보

    1968.07.23 00:00

  • ⑦ 영산강 몽탄

    꿈이 여울지는 푸른강 굽이를 연상하며 몽탄에 나룻배를 댄것은 뙤약볕이 쏟아지는 한낮―. 녹수는 간데없고 질펀한 황토물이 갯벌에 넘실거린다. 밀물과 갯물이 맞닿아 소소로운 소리를내며

    중앙일보

    1968.07.22 00:00

  • 낙동강 하회

    낙동강7백리 강섶은 길어도 흐름은 잔잔하다. 태백산중허리 황지에서 솟은물이 산을 끼고 들을 건너 쉼없이 흐르고 넘쳐 지향없는 3백리-. 경북안동면풍천면하회고을에서 물굽이를 정동으로

    중앙일보

    1968.07.19 00:00

  • (4) 무주구천동

    기호삼남에 한해가 들어 대지가 온통 타들어 가는데도 구천동 깊은 골짜기 물레방아는 쉴 줄을 모른다. 해발 1천5백94미터- 덕유산 산록에서 아흔아홉 굽이를 돌아 내리는 옥수를 따라

    중앙일보

    1968.07.17 00:00

  • 오대산

    적월봉동대, 장령봉서대, 기린봉남대, 상왕봉북대, 사자암중대가 어깨를 겨뤘다. 오대산-. 한강의 실마리 오대천이 아름드리 전나무 숲과 숨바꼭질하며 50리 계곡을 흐른다. 천년을 마

    중앙일보

    1968.07.15 00:00

  • (150)-청산유수

    7월의 뙤약볕이 수은주을 치올린다.19일이 초복.시원한 강바람,서늘한산바람을 따라 납량 시리즈 『청산연수』 을 찾아나섰다. 설악산엔 여름이 없다. 7천8백봉 뫼부리마다 서늘한 산바

    중앙일보

    1968.07.13 00:00

  • 적에게도 물한모금

    [퀴논=심태조특파원] 싸움터에서 물은 아주 귀한 것. 중부월남의 「푸카산」일대에서「독수리·맹호12호작전」을 벌이던 맹호1연대의 한정보장교가 자기 수통물로 여자 「베트콩」 포로의 목

    중앙일보

    1968.07.12 00:00

  • 「시저」의 달

    7월의 왔다. 7월이 오면 어디서 여울소리가 들린다. 계곡의 조약돌들을 흔들어 깨우는 물소리, 바윗돌을 쩡쩡 울리는 폭포의 소리, 백사장으로 밀려드는 포말의 대군, 파도소리…. 7

    중앙일보

    1968.07.01 00:00

  • 눈 깜박할새 참변

    【진천호 사고현장=이정노·양정희 기자】23일 하오 춘천「댐」 벼랑에서 낡은 시외「버스」가 50미터나 뒹굴어 물 속에 완전히 잠긴 시간은 하오 6시10분쯤이었다. 이 사고를 처음 목

    중앙일보

    1968.06.24 00:00

  • 한국의 자랑거리

    가령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드는 외국손님이 김포공항에 내린다하자. 이들을 영접하는 사람들이 열이면 아홉『한국의 인상이 어떠냐』고 묻는게 보통이다. 한참을 어안이 벙벙해하다 외국손님들

    중앙일보

    1968.04.24 00:00

  • 입산금지란 무엇인가 (홍종인)

    「입산금지」란 도대체 무엇을 뜻하며 언제까지 어쩌자는 것인가.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으로 이루어진 나라의 국민 된 우리는 산을 사랑하고, 산을 아끼기 위하여 산에 접근하는 것이 애국

    중앙일보

    1968.03.28 00:00

  • 정예의 철벽

    북한무장공비 침입이 있은 지 두 달 남짓. 군은 그 동안 병력을 증강, 휴전선과 해안선 방위태세를 한층 굳혔으며 향토예비군의 편성도 거의 끝났다. 오는 4월 1일 향토 예비군이 대

    중앙일보

    1968.03.28 00:00

  • 빛과정치

    오늘은 경칩(驚蟄). 이제부터 땅이 풀리기 시작한다. 문득 한병사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제2차대전이 끝날무렵, 북「이탈리아」전선에서 있었던 일이다. 미국의 한 젊은 GI가 중상을

    중앙일보

    1968.03.05 00:00

  • (끝)주먹구구 수사의 과학화를 위해|완전범죄는 없다

    작년 8월 동경의 어느사장집이 불타버렸다. 경찰은 단순화재로 결혼을 내려 처리해 버렸다. 그러나 한사람의 형사가 『절대로 방화다』라는 집념을 가지고 현장수사를 치밀하게 벌인 끝에

    중앙일보

    1967.11.14 00:00

  • 목이 타는 가뭄

    끝내 시원한 비 한번 내려주지 않은 올 여름의 한해는 호남지방은 물론 한때 가물었던 김해지방에서도 이농자를 속출시키고 국민학교 출석 율이 떨어지는가 하면 농우마저 내다 팔게 하고있

    중앙일보

    1967.09.28 00:00

  • (78)역사의 고향 (36)그냥 우뚝 솟고 흐르는 듯해도 한없는 사연들이…

    무더운 때 서늘한 맛을 산수간에서 찾고 싶음은 사람의 상정. 그 서늘함을 기계로 조작한 냉방장치에 어찌 비할까. 한반도는 옷깃을 모조리 바다에 잠그고 있으므로 해풍을 쐬기란 어려

    중앙일보

    1967.08.12 00:00

  • 백여명 고립

    여름방학을 이용 서울대를 비롯 전국에서 모여든 한라산 등반학생 1백여명이 26일부터 몰아닥친 태풍 「엘렌」의 영향으로 길이 막혀 27일 상오 현재 산에서 내려오지 못하고 있다. 경

    중앙일보

    1967.07.27 00:00

  • 「바캉스」도 먹어?

    ○…화단에 핀 봉선화가 그 무성한 입사 귀를 축 늘어뜨리고 있다. 장마비가 그친 뙤약볕에 숨이 막히는 모양이다. 대청에 돗자리를 깔고 소매 없는 「무무」를 입은 채 가만히 있는 데

    중앙일보

    1967.07.27 00:00

  • 입산 허락된 곳|교통편하고 적소 많은 바다|근교 아닌 곳엔 등산 말도록

    본격적인 여름 등산의 계절은 다가왔으나 마음놓고 산을 즐길 수도 택할 수도 없게되어 방학과 휴가를 얻은 학생층과 일반인 층의 「알피니스트」들을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무장간첩의 출

    중앙일보

    1967.07.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