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순국선열·애국지사 포상자 명단]

    ◇ 건국훈장(84명) ▶독립장(1명)〓김학무 ▶애국장(51명)〓권도연.권영선.김두갑.김명옥.김병렬.김봉정.김산륜.김상갑.김성화.김수갑.김원영.김윤학.김자용.김재풍.김치순.김회락.나

    중앙일보

    2001.08.15 00:00

  •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111명 포상

    국가보훈처는 광복 56주년인 15일 일제와 맞서 광복운동을 한 독립유공자 1백11명을 포상키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포상자 중 조선의용대 출신 김학무(金學武.독립장)선생과 최초로

    중앙일보

    2001.08.15 00:00

  • 독립운동 명가 뒤에 '철의 여인' 있었다

    시아버지와 남편.아들 등 3대(代)에 걸친 항일 독립운동을 뒷바라지해오다 일경의 고문으로 두 눈까지 실명한 독립운동 집안의 맏며느리가 광복절 56주년을 맞아 '독립지사' 로 공식

    중앙일보

    2001.08.15 00:00

  • [1월의 독립운동가] 기삼연 선생

    국가보훈처가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성재 기삼연(奇參衍.1851~1908)선생은 구한말 호남 지역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이다. 전남 장성에서 태어난 선생은 위정척사 사상의

    중앙일보

    2001.01.08 00:00

  • 광복 55돌 애국지사 157명 훈·포장

    국가보훈처는 광복 55돌을 맞아 광한단(光韓團)조직 결성 등 일제 치하에서 항일투쟁을 벌인 이호원(李浩源.1891~1978)선생 등 독립에 기여한 순국선열 및 애국지사 1백57명에

    중앙일보

    2000.08.12 00:00

  • 광복절 독립유공자 훈·포장

    ◇ 건국훈장독립장〓이성화 이호원 ◇ 건국훈장애국장〓강신경 고두일 김수성 김순영 김영국 김용담 김의홍 김인성 김찬두 김효운 김희국 맹달섭 박래준 박인찬 박치율 박홍지 방윤격 백신한

    중앙일보

    2000.08.12 00:00

  • 광복절 독립유공자 포상자 명단

    건국훈장 독립장 = 이성화 이호원 ◇ 건국훈장 애국장 = 강신경 고두일 김수성 김순영 김영국 김용담 김의홍 김인성 김찬두 김효운 김희국 맹달섭 박래준 박인찬 박치율 박홍지 방

    중앙일보

    2000.08.11 14:29

  • [8월의 독립운동가] 홍범식 선생

    국가보훈처에 의해 '8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된 일완(一玩)홍범식(洪範植.1871-1910)선생은 일제 침략에 맞서 경술국치일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 반일(反日)투쟁을 확산시켰다.

    중앙일보

    2000.08.01 00:00

  • [7월의 독립운동가] 김한종 선생

    국가보훈처가 '7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한 김한종(金漢鍾.1883~1921)선생은 대한광복회에서 독립투쟁을 벌였다. 충남 예산의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난 선생은 1906년 부친과

    중앙일보

    2000.07.07 00:00

  • [7월의 호국인물] 김홍일 장군

    전쟁기념사업회가 '7월의 호국인물' 로 선정한 김홍일(金弘壹.1898~1980)예비역 육군중장은 6.25 때 시흥지구 전투사령관으로서 한강 방어선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평안

    중앙일보

    2000.07.07 00:00

  • [6월 독립운동가] 이종건 선생

    국가보훈처가 '6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한 이종건(李鍾乾.1906~1960)선생은 임시의정원 의원 및 광복군으로 활동하며 조국광복에 일생을 바쳤다. 충남 천원 출신인 선생은 19

    중앙일보

    2000.06.03 00:00

  • 애국지사 박영준옹 타계

    백범기념사업회장을 지낸 애국지사 박영준(朴英俊)옹이 27일 오전 8시 삼성서울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85세. 朴옹은 임시정부의 외곽단체인 한국광복진선 청년공작대를 시작으로 한

    중앙일보

    2000.03.28 00:00

  • '12월 독립운동가'에 김동식 선생 선정

    국가보훈처는 호남지역에서 항일의병 활동을 전개한 석정(石井)김동식(金東植.1854~1909)선생을 '12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했다.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난 金선생은 정미7조약

    중앙일보

    1999.12.02 00:00

  • 9월 독립운동가에 양우조 선생

    국가보훈처는 임시의정원에서 예산위원장을 지낸 소벽 (少碧) 양우조 (楊宇朝.1897~1964) 선생을 '9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했다. 평안남도 강서 출신으로 한학을 공부한 선생

    중앙일보

    1999.09.01 00:00

  • [독립유공 포상자 명단]

    건국훈장 독립장 (2명) =신우여 (申禹汝) 호종남 (胡宗南) ◇ 건국훈장 애국장 (66명) =강병욱 (姜炳旭) 강봉학 (姜鳳鶴) 계용순 (桂容淳) 고희순 (高喜淳) 곽무 (郭

    중앙일보

    1999.08.14 00:00

  • 부전자전 독립운동 반세기 지나 햇빛

    항일투쟁에 앞장서다 일가족이 몰살당한 이효상 (李孝相.1921~1942) 선생 일가의 비극이 뒤늦게 사실로 확인돼 제54회 광복절을 숙연케 하고 있다. 김구 (金九) 선생은 일찍이

    중앙일보

    1999.08.14 00:00

  • 11일 스코필드 박사 추도식 열려

    3.1운동을 전세계에 알린 공로로 외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된 프랭크 스코필드 (1889~1970.한국명 石虎弼) 박사의 29주기 추도식이 11일 오후

    중앙일보

    1999.04.09 00:00

  • '3월의 독립운동가' 에 유관순 열사

    '3월의 독립운동가' 로 3.1운동 당시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옥중에서 순국한 유관순 (柳寬順.1902~1920) 열사가 선정됐다. 1918년 이화학당 고등부에 입학한 柳열사는 19

    중앙일보

    1999.03.02 00:00

  • 2월의 독립운동가 송계백 선생 선정

    국가보훈처는 일본 유학중 2.8독립선언을 국내에 전파한 송계백 (宋繼白.1896~1920) 선생을 '2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 발표했다. 평남 평원에서 태어난 선생은 1915년

    중앙일보

    1999.02.02 00:00

  • '1월의 독립운동가' 에 이의준 선생

    국가보훈처는 4일 '1월의 독립운동가' 로 일제에 맞서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하다 순국한 이의준 (李義俊) 선생을 선정, 발표했다. 선생은 1924년 사이토 총독의 압록강 순시계획을

    중앙일보

    1999.01.05 00:00

  • 12월의 독립운동가 이윤재선생

    일제시대 한글연구와 역사교육에 헌신하다가 옥중 순국한 사학자겸 한글학자인 한뫼 이윤재 (李允宰) 선생이 '12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됐다. 선생은 3.1운동때 영변에서 만세운동을

    중앙일보

    1998.12.01 00:00

  • [부음]대한민국 독립에 헌신,대만 劉詠堯씨 별세

    중국인 출신이지만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한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류융야오 (劉詠堯) 장군이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臺北) 시에서 별세했다. 93

    중앙일보

    1998.09.15 00:00

  • '9월의 독립운동가'에 장도빈 선생

    국가보훈처는 31일 언론활동과 국사연구를 통한 항일운동에 전념했던 산운 (汕耘) 張道斌 (1888~1963) 선생을 '9월의 독립운동가' 로 선정, 발표했다. 구한말 대한매일신보

    중앙일보

    1998.09.01 00:00

  • 국가보훈처,독립유공자 158명에 훈·포장

    국가보훈처는 정부 수립 50주년을 맞아 국내외의 독립유공자 1백58명을 발굴해 15일 훈.포장을 수여한다고 13일 밝혔다. 훈.포장을 받는 애국지사들은 ^건국훈장 1백18명 (대통

    중앙일보

    1998.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