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간화 돼지' 연구해 표적치료제 개발한다

    '인간화 돼지' 연구해 표적치료제 개발한다

    장기이식용 돼지가 개발되면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질까. 건국대학교(총장 송희영)는 동물생명과학대학 김진회 교수(동물생명공학과) 연구팀이 환자맞춤형 장기이식용 질환모델 돼지

    온라인 중앙일보

    2015.06.22 13:03

  • 바이오 장기 연구센터, 돼지 무균화에 성공 … 장기이식 연구 박차

    바이오 장기 연구센터, 돼지 무균화에 성공 … 장기이식 연구 박차

    건국대는 최근 생명공학 클러스터를 완성했다. 대학병원, 무균돼지사육실 등 첨단 생명과학 연구실이 입주한 의생명과학연구동이 들어서면서 수의대, 동물생명과학대(구 축산대), 생명환경

    중앙일보

    2010.11.09 00:27

  • [인사] 건국대

    ◆건국대▶부총장 하미승▶대학원장 이훈택▶기획조정처장 유재원▶교무처장 정일민▶입학처장 김진기▶학생복지처장 한진수▶산학협력단장 백현동▶총무처장 신채호▶관리처장 박수원▶대외협력처장 이치

    중앙일보

    2010.08.23 00:00

  • 무균 돼지 이용한 심장,신장 이식 혁명 눈앞

    무균 돼지 이용한 심장,신장 이식 혁명 눈앞

    지난해 건국대 바이오장기연구센터 무균돼지 사육실에서 생산한 복제돼지(위). 지난 6월 서울대 이병천 교수팀과 알앤엘바이오가 복제에 성공한 암 탐지견들(아래왼쪽). 탐지견들은 리트

    중앙선데이

    2008.12.14 08:38

  • 복제 매머드 사는 ‘홍적세 공원’ 50년 안에 가능해진다

    복제 매머드 사는 ‘홍적세 공원’ 50년 안에 가능해진다

    “쿵~쿵~쿵~쿵~.” 저 멀리 거대한 빙하 사이로 육중한 걸음을 옮기고 있는 거대한 털북숭이 매머드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자 모두 입을 다물지 못한다. 반대 방향의 산 중턱 동굴에

    중앙선데이

    2008.12.14 08:34

  • 건국대 교수·학생·평판도, 대구대는 순수취업 1위

    건국대 교수·학생·평판도, 대구대는 순수취업 1위

     생명공학 농학계열의 동물전공 관련 학과는 최근 몇 년 동안 큰 변화를 겪었다. 동물학이 첨단 학문으로 떠오르면서 많은 대학이 축산학과라는 명칭을 동물생명공학·동물자원학 등으로 바

    중앙일보

    2008.10.01 02:28

  • '형광 닭 2대째 유전' 국내서도 성공

    '형광 닭 2대째 유전' 국내서도 성공

    ▶ 몸에서 형광빛을 내는 2세대 형광 닭(右)과 일반 닭. 형광 빛을 내는 닭을 지난해 세계 처음으로 생산해 주목받았던 국내 연구진이 이번에는 이 형광 유전 형질을 이어받은 닭을

    중앙일보

    2005.02.06 17:28

  • '형광 닭' 꼬끼요~

    '형광 닭' 꼬끼요~

    몸에서 녹색 형광이 나는 닭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대구가톨릭대 의대 김태완 교수팀은 건국대 이훈택 교수팀.축산기술연구소 장원경 박사팀.충남대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 등

    중앙일보

    2004.07.12 22:00

  • 국내 첫 냉동 난자아기 곧 탄생

    서울 차병원에서 빠르면 이번 주중에 얼린 난자를 이용한 아기가 태어난다. 동결 수정란에서 아이가 태어난 적은 있지만 난자는 이번이 국내 처음이다. 난자 동결은 흔한 수정란 동결과는

    중앙일보

    1999.08.09 10:57

  • 국내 첫 냉동 난자아기 곧 탄생

    서울 차병원에서 빠르면 이번 주중에 얼린 난자를 이용한 아기가 태어난다. 동결 수정란에서 아이가 태어난 적은 있지만 난자는 이번이 국내 처음이다. 난자 동결은 흔한 수정란 동결과는

    중앙일보

    1999.08.09 00:00

  • 비만억제 실험용 생쥐개발-건국대 이훈택 교수팀

    건국대 동물자원연구센터의 이훈택(李勳澤) 교수팀은 비만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 단백질이 일반 생쥐보다 최고 20배 많은 형질전환 생쥐를 개발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1998.12.16 00:00

  • 인간 생명연구 '일등 공신' 쥐

    유전자 조작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빼놓을 수 없는 일등공신이 있다. 바로 생쥐다. 요 조그만 쥐가 없었다면 생명공학이 지금처럼 눈부시게 발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 예로 건국대 축

    중앙일보

    1998.07.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