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항서 여객선 침몰|16명익사·9명실종

    【군산=정천수·최해명·김재환기자】24일상오11시30분쯤 서천군장항읍장항제련소에서 서쪽으로 1·5킬로떨어진 유부도근처해상에서 동력선 서조호(6·8톤·선주박경춘·45·군산시중동)가 정

    중앙일보

    1968.05.25 00:00

  • (6)「꿈」을 캐는 아낙손에 봄은 가득히

    수백의 섬들이 봄햇살에 졸리는듯 가라앉은 한려수도의동쪽 미륵섬. 임진란때 충무공에게,쫓기다보니 바다로 통하지않고 좁은 목이 막혀있어 왜병들은 급한김에 손으로 파서 도망쳤다해서 이곳

    중앙일보

    1968.03.05 00:00

  • (4)부두의 영춘 인사 "동백이 피었읍디까"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닷바람이 언땅을 녹이면 목련이 망울지고 봄은 왔다. 우리 모두 새학년 부지런히 배우고 무럭무럭 자라자.』 충무시 충열국민학교5년2반 교실에 예쁘장한 글씨로쓰인

    중앙일보

    1968.03.01 00:00

  • (27) 전남 고흥군

    벌교에서 「버스」를 갈아타고 전설이 깃들인 선 근교를 건너 남쪽 갈림길에 들어서면 뽀얀 황토길이 낮은 구릉과 갯벌사이를 뚫고 뻗어있다. 1백91개의 섬(유인도 28·무인도 1백22

    중앙일보

    1967.04.11 00:00

  • 소라줍다 참변

    【대전】9일 하오 4시쯤 충남 서산군 부석면 치산리 1구 앞바다 갯벌에서 소라를 줍던 소녀 4명이 밀물에 휩쓸려 이 마을 이종래씨의 3녀 정옥(19)양과 이종만씨 2녀 순복(18)

    중앙일보

    1967.03.10 00:00

  • 원유에서 단백질|영국 석유회사 「샴」 씨의 이색 연구

    영화 「몬도가네」에서 본 바와 같이 세계 각 국의 식성에는 그 특유의 이상한 일면을 지니고 있는가 보다. 개고기가 한국과 중국에서 인기가 있고 징그러운 뱀을 통조림한 것이 미국 「

    중앙일보

    1967.02.28 00:00

  • 수심 30「미터」갯벌에|선체 재확인…인양작업은 여전히 부진

    4일째 접어든 17일 한국함대부사령관 정경모 준장이 진두지휘하는 사고현장 구조작업대는 ①함정에 의한 수색 ②소주정으로 연안수색 ③지뢰탐지기에 의한 수중탐색 ④「보텀·드랙·스위프」(

    중앙일보

    1967.01.18 00:00

  • 경비행기 추락 소령 1명 중상

    【진해】10일 하오 2시 55분 진해시 장천동 소재 육군 수송기지 사령부 영내 K10 비행장에서 L20 경비행기가 추락했다. 이날 해병대 교수단장 김성대 대령이 동 비행기로 이륙하

    중앙일보

    1967.01.11 00:00

  • 자유되찾은 분기점|15일은 「인천상륙」열여섯돌

    호수는 오늘도 인천항에 밀렸다. 밀물에 밀리어 인천은 살이찌고 영광과 곤경의 설화는 썰물에 씻기어갔다. 하지만 아무리 밀리고 씻기어도 질퍽한 감탕밭에 끈적하게 떠오르는 침전물-.

    중앙일보

    1966.09.15 00:00

  • 8개국 참가 옥토화에 협력

    7개국 의국학생 14명이 18명의 한국학생과 함께 경남 남해군 서면 서장리에서 부락민들의 간척사업을 도와 지난 7월 14일부터 8월11일까지 17일간에 갯벌 4백평을 간척, 옥토화

    중앙일보

    1966.08.18 00:00

  • (1) 전남 장흥군

    예부터 금수강산이라 했다. 그 속에서 살면서 연면히 이어온 우리들의 살림과 함께 우리고장은 숨쉬며 변모해 왔다. 사라져 가는 것에의 아쉬움과 새로 태어나는 아픔 섞인 희열과 맥박을

    중앙일보

    1966.07.28 00:00

  • 초연의 전장누비던 46세의 최고참과 그때 두 살이던 최연소병의 대화|17년의 상사와 17세의 소년병

    고참병은 서서히 고지를 물러가고 있었다. 6·25를 맞을 때마다 전방엔 신참병들이 패기에 넘쳐 있었다. 6·25 열여섯돌-. 공산군의 침략에 쫓겨남으로 밀리면서 초연속에 태어난 갓

    중앙일보

    1966.06.25 00:00

  • 얼음장타고 표류4시간 한강 하류서-1명 구출·1명 실종

    【하성=백학준·이종완·정성진 기자】19일 상오 11시50분쯤 경기도 김포군 하성면 석탄리 곡촌 뒷산 앞 한강하류에서 「지프」만한 크기의 얼음만을 타고 놀던 소년 2명이 썰물을 만나

    중앙일보

    1966.02.21 00:00

  • 남과 북 갈라진 곳 [13년 함원]이 서린 이방지대

    해는 또다시 뜬다지만 휴전선에 묻은 함원은 어언 13년. 전쟁이 흩뿌리고 간 상흔은 처절하기만 하다. 그러나 단 한가지 살아야한다는 이유 때문에 마의 휴전선에다 목줄을 건 숱한 목

    중앙일보

    1965.12.27 00:00

  • 귀환어민 돌아오던 날|낙도는 잔치 기분

    서도 귀환어민 제1진 66명은 23일 하오 만 25일만에 목메어 그리던 고향 땅을 밟았다. 어민들을 태운 배가 선창에 닿는 순간 엄마와 아들을 부르는 환성과 눈물이 썰물진 서도

    중앙일보

    1965.11.24 00:00

  • 삼선교회서 동정금|볼음섬[3남매]에

    지난번 함박도 앞 개펄에서 납북된 볼음도의 홀어머니(안정숙·43)를 애타게 기다리는 3남매(박창윤·19, 창순·여·13·볼음교5년, 창복·남·9·동교2년)이야기(12일자 본보)기사

    중앙일보

    1965.11.15 00:00

  • 어민납북 사건 그후의 볼음도|메아리 없는 절규|창윤이 엄마라도 빨리 돌려보내라

    "창윤이 엄마를 빨리 돌려보내달라" 서도납북어민 가족 치고 누구하나 딱하지 않은 점은 없다. 저마다 부모형제들 빼앗긴 집들. 모두가 돌아올 날을 손꼽아 기다리면서도 볼음도 사람들은

    중앙일보

    1965.11.12 00:00

  • 납북 어민, 모두 백12명

    [말도=본사 윤여덕·송평성·윤정규기자]조개잡이 어민 1백12명이 납북된 것은 짙은 바다 안개가 구름처럼 눌러 덮은 29일 하오 4시. 1백55마일 휴전선 가장 서쪽 말도 개펄에서였

    중앙일보

    1965.1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