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편의시설 설치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독도를 대표적인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경북도의 계획에 문화재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독도에 관광객 편의시설을 만드는 것은 문화재를 훼손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북도는 "독도 관광객을 위한 최소한의 시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경북도는 독도 문제가 불거진 직후 동.서도 연결 방파제 건립 등 10개 사업을 펴기로 하고 사업비 1551억원을 지원해 달라고 23일 기획예산처에 요청했다.

주요 사업은 어선 대피용 동.서도 연결 방파제 건설과 선박 접안용 부두 건설이다. 이밖에 관광객을 위한 휴게소.화장실.안내실 등을 건립하는 것도 포함돼 있다.

예산지원 여부는 건설교통부.문화재청.해양수산부.행정자치부 등 관련 부처의 협의를 거쳐 결정된다.

하지만 문화재청이 시설물 설치에 반대해 도의 사업 추진이 불투명한 상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중요한 문화재인 독도에 각종 시설을 할 경우 자연환경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며 "현재 있는 시설 외에 다른 시설물을 설치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특히 동.서도 연결 방파제나 선박 접안용 부두, 휴게소 등의 건립은 독도의 환경을 크게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독도에 들어갈 수 있는 관광객도 한 차례 70명씩 하루 두 차례 140명으로 제한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 및 36개의 바위로 된 화산섬으로 전체가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돼 있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이와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 정부가 독도에 일반인 관광을 허용한 만큼 이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개발에는 우리 땅이란 점을 명백히 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고 말한다.

울릉군은 입도 인원을 늘리라고 요구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문화재청의 입도 허용 인원은 삼봉호(정원 215명)가 독도에 가 70명만 내리게 하고 나머지는 배에 머물도록 하라는 뜻"이라며 "이는 독도 개방의 의미를 반감시키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