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신용듭급 조정 지켜본 뒤 결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의 하나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4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가까운 시일 안에 올릴 가능성이 크지 않음을 내비쳤다.

S&P의 북아시아 국가.기업 신용등급 담당 임원인 로버트 리처즈 전무는 이날 서울 힐튼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은 시장원리 확립을 위한 한국의 구조조정 노력이 성과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관찰할 때" 라며 "거액의 채무 만기가 돌아오는 하반기 상황을 본 뒤 국가신용등급 상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리처즈 전무는 "한국의 금융.기업 구조조정이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이는 위기를 겪은 다른 아시아 국가의 상황이 워낙 나빠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져 보이는 것" 이라며 "한국 시장의 오랜 관행인 기업의 지명도에 바탕을 둔 여신과 수익성을 무시한 양적 성장, 투명성 결여 등이 국제 투자자의 기대와 어긋나는 요소" 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한국 정부의 적극적 개혁 의지는 바람직하지만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회사채 신속인수제 등 개별 기업에 대한 사안까지 세세하게 개입해 도덕적 해이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며 "정부는 예측 가능한 경제 시스템과 효율적 분쟁조정수단 마련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환경을 조성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대우차 등 일부 기업이 헐값에 팔린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리처즈 전무는 "계속 버티면 '적정가격' 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며 "신속한 해결이 해당 기업의 생산능력 회복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최선의 방안일 것" 이라고 주장했다.

나현철 기자 tigerac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