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잠재부실 많으면 출자전환·경영진 교체

중앙일보

입력

현대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27일 오전 11시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가 다시 나타나거나 잠재부실이 예상보다 많을 경우 출자전환과 경영진을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외환은행은 현대건설에 대한 자산 실사 후 처리 원칙에 대해 이같이 공식 발표했다. 외환은행은 채권단이 제시하는 출자전환 등 채무 재조정 조건에 대한 동의를 전제로 현대건설에 대한 금융지원 문제를 채권단과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외환은행은 현대건설의 자구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유동성 문제가 재발하거나 회사의 경영상태에 대한 실사 결과 회사측의 자구노력 만으로 회생이 불투명해 금융기관 차입금의 출자전환 등 채무 재조정이 불가피할 경우 주채권은행이 제시하는 출자전환 등 채무재조정 조건에 대한 동의를 전제로 일시적인 금융지원 문제를 협의.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외환은행은 또 현대건설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서는 현대건설이 결산을 확정한 뒤 회계법인의 실사 등을 통해 기업내용을 투명하게 밝히고 결산주총에서 경영진 구조를 개편, 더욱 강력한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은 3월 주총에서 김윤규 사장 등이 물러날 가능성이 커졌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관계자는 "현대건설이 4억달러의 해외건설 공사에 대한 은행권의 보증을 받으면서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에 채권단의 출자전환에 대한 동의서를 제출할 것으로 인다" 면서 "3월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문제 경영진에 대한 교체에도 합의했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상황 전개에 따라 감자한 뒤 출자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 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영화회계법인과 계약을 맺고 현대건설에 대한 자산실사를 벌이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현대건설에 대해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지려면 경영진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을 것" 이라면서 "스스로 유동성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될 경우 채권단의 방침대로 처리한다는 게 원칙" 이라고 강조했다.

정철근 기자 <jcom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