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 예금 금리 잇단 인하

중앙일보

입력

주요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예금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다.

최근 시장 지표금리인 국고채 금리가 연일 연중 최저치를 기록, 예금을 받아 대출보다 채권에 주로 운용하는 은행들이 줄줄이 '역마진' 을 볼 사태에 처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은 오는 11일부터 정기예금.정기적금.상호부금 등 수신금리를 전반적으로 0.2~0.8%포인트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기예금의 경우 1년 이상 2년 미만의 경우 현행 연 7.0%에서 6.8%로 낮아져 주요 시중은행 중 처음으로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가 6%대에 접어들게 됐다. 2년 이상 3년 미만 예금은 연 7.5%에서 7.3%로 낮췄다.

또한 농협과 하나은행도 7일부터 예금 금리 인하에 나선다.

하나은행은 단기 정기예금의 금리만 조정해 1개월 짜리는 현행 연 5.5%에서 5.3%로, 3개월 짜리는 6.3%에서 6.2%로 0.2%포인트와 0.1%포인트씩 낮춘다.

이밖에 조흥은행도 수신금리를 0.1%포인트 가량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서울은행은 지난 4일부터 1년 만기 정기예금만 연 7.5%에서 7.3%로 0.2%포인트 인하했다.

한편 이같은 고시금리와는 별도로 시중은행들은 지점장 전결로 금리를 더 얹어주는 방식으로 실세 금리는 0.5%포인트 이상씩 더 높여줘 온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주택.신한.하나.한미.한빛은행 등은 올들어 4~6차례에 걸쳐 수신금리를 인하, 연초에 비해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고시금리를 최고 2.0%포인트까지 낮춰 금리가 7%대 초반까지 내려간 상태다.

그러나 이같은 고시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이 전국 은행들의 평균 수신금리를 조사한 결과 올해 10월의 은행권 1년 이상 2년 미만인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2월 연 7.94%에서 올해 10월엔 7.70%로 0.24%포인트 떨어지는데 그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