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식량 지원 중단” … 중국 “당사국 냉정·자제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12일(현지시간) 워싱턴 주요 8개국(G8) 외무장관 회담직후 북한의 로켓 발사가 유엔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고 있다. [워싱턴 로이터=뉴시스]

북한의 로켓 발사 후 국제사회 대응의 열쇠를 쥐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미국이 신속하게 비난하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에 나선 데 반해 중국은 당사국들의 냉정과 자제를 당부했다.

 미국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지 2시간 만인 12일 밤(현지시간) 백악관 성명을 발표했다. 백악관은 제이 카니 대변인 명의로 발표된 성명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시도가 실패했으나 이번 도발행위는 지역안보를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배했다”며 “북한은 도발행위로 스스로 고립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비판했다.

백악관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북한 식량지원 계획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벤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지원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추가로 도발적인 행위를 할 경우 추가 제재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향후 사태 추이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13일 논평을 통해 “중국은 북한의 위성발사 상황과 관련 각 당사자들의 반응에 주의하고 있다”며 “우리는 (관련 당사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와 역내 평화·안정을 손상시키는 일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당사국들이) 접촉과 대화를 유지하고 한반도와 역내 평화·안정을 공동으로 수호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는 유엔 안보리를 통한 북한 제재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류 대변인은 오후의 브리핑에서 “위성발사 전에 북한으로부터 구체적으로 통보받은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일본은 북한의 로켓 발사에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는 이날 오전에만 두 차례 긴급 안전보장회의를 주재했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 이는 일본 안전보장상의 중대한 도발 행위”라며 “일본 독자 제재와 유엔 안보리 제재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정부는 유감을 표명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북한이 인공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한 것은 유감”이라며 “로켓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에 위배됨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