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늘어난 대전 물가 상승률 가장 높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대전시에 사는 하현욱(43)씨는 지난해 말 중형차를 경차로 바꿨다. 자가용으로 매일 출퇴근하는데 치솟는 기름값이 부담스러워서다. 하씨는 “회사까지 지하철이 연결돼 있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차로 출근하는데, 기름값이 L당 2000원을 넘어서는 걸 보고 차를 바꿨다”고 말했다. 8일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대전은 평균 휘발유 판매가격이 서울에 이어 전국 2위다.

 소비자물가가 치솟고 있지만 지역별 온도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1년 4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대전은 지난해 4분기(4.4%)와 올 1월(3.9%)에 전국 16개 시·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이 가장 낮은 인천시(4분기 3.2%, 1월 2.9%)와 비교하면 1%포인트가량 차이가 난다.

 대전 물가가 많이 오른 데는 이유가 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백봉현 과장은 “대전은 불편한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을 이용하는 봉급생활자가 많아 기름값이 비싸다”며 “서울에 가족을 두고 혼자 내려온 1인 가구가 늘면서 외식가격이 오른 것도 물가상승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버스요금(15.8%)과 상수도요금(9.29%)을 잇따라 올린 것도 물가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이에 비해 인천은 지난해 4분기 식료품과 학교급식비가 떨어지면서 전국에서 물가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천은 항만을 끼고 있고 서울과 가까워 유통이 발달하다 보니 생활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상북도는 물가보다 취업자 수가 더 큰 고민거리다. 지난해 16개 시·도 중 취업자 수가 줄어든 곳은 경상북도(-0.2%)가 유일했다. 광공업 생산이 지난해 4% 감소하는 등 제조업 업황이 부진했던 탓으로 풀이된다.

 고용이 문제인 건 인근의 대구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율은 전년 대비 0%를 기록했다. 특이한 건 고용이 제자리인데도 소비는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다. 지난해 4분기 대구시의 대형 소매점 판매규모는 전년동기보다 18.6% 늘어 전국 평균(3.6%)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백화점 매출은 30.9%나 뛰었다. 지난해 8월 현대백화점이 대구점을 열면서 3개 백화점(현대·롯데·대구)이 치열한 고객 확보 경쟁을 벌인 게 원인으로 꼽힌다.

취업자수와 고용률

취업자란 일주일에 1시간 이상을 일하고 임금을 받은 사람을 뜻한다. 전국적으로 표본가구를 선정한 뒤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집계한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에서 취업자의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전국 취업자수는 전년 동기보다 2% 늘어난 2445만 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인천(4.4%)과 제주(3.9%), 전북(3.5%)에서 취업자수 증가율이 높았다. 전국의 고용률은 59.4%로 0.5%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67.6%), 가장 낮은 곳은 부산(55.4%)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