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태 진통 계속

중앙일보

입력

현대그룹은 28일 밤 현대건설이 올해 안에 총 5천4백26억원의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한 추가 구조조정 방안을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과 협의해 이달 안에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현대의 발표는 정부와 채권은행단의 요구를 대부분 거부한 것이며,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이 즉각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현대 사태는 상당 기간 진통이 계속될 전망이다.

현대는 이날 오후 8시 '현대의 입장' 이라는 자료를 언론사에 배포, "대주주는 소유지분에 대한 책임과 권한만을 행사하고 경영권에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지키겠다" 고 밝혀 정주영(鄭周永) 명예회장의 현대자동차 최대주주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뜻임을 밝혔다.

현대는 또 이 자료에서 이익치(李益治) 현대증권 회장과 이창식(李昌植) 현대투신 사장 등 금융 계열사 경영진에 대한 문책 의사도 언급하지 않았다.

현대그룹은 현대건설이 갖고 있는 ▶상장.비상장 계열사 주식(3천3백85억원) 과 부동산(1천41억원) 매각▶미분양 상가와 자산유통화채권(ABS) 발행을 통한 1천억원 조성 등 총 5천4백26억원의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또 6천4백억원에 상당하는 서산농장 3천1백만평을 매각 또는 수익사업을 위한 담보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용근(李容根) 금감위원장은 "현대측 발표 내용은 현대가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 이라며 "정부로서는 이것이 현대의 최종안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고 밝혔다.

외환은행도 이날 밤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현대그룹에 강도높은 자구책을 재차 요구하기로 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현대그룹의 발표문안 중 '대주주는 경영 일선에 관여하지 않는다' 는 내용을 鄭명예회장이라고 구체적으로 못박을 것을 요구했으나 현대측에서 이를 거부했다" 고 밝힌 뒤 "공식발표 전에 내용을 협의할 것을 요청했으나 현대측이 최종 조율이 안된 상태에서 알맹이없는 내용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고 말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이날 김경림(金璟林) 외환은행장을 창구로 현대측과 추가적인 자구계획을 협의했으나 저녁 늦게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정부 관계자는 "외환은행이 현대와 접촉했으나 현대측으로부터 만족할 만한 자구계획을 받지 못했다" 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