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6개국 ‘재난 공동대책기구’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대지진과 홍수 등의 재해가 빈발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대규모 자연재해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국제기구를 발족한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 보도했다. 국제 재해 지원기구는 한국과 일본·인도네시아·필리핀·스리랑카·대만 6개국이 참여하며, 내년 10월 출범할 예정이다.

 ‘아시아·태평양 재해지원 플랫폼’(가칭)은 3·11 동일본 대지진을 겪은 일본이 제안했으며, 현재 중국과 말레이시아·싱가포르도 참여를 검토 중이다.

참가국은 자금을 공동으로 확보하고 지원프로그램 마련과 공동 훈련을 벌이게 된다. 자연재해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재해발생 시 즉각적인 협력과 재해국가 및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하게 된다.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민간기구(NGO)와 기업·정부가 모두 참여한다. NGO는 재해 시 즉각적인 태세를 정비하고 기업은 운영비 모금과 재해지역에 대한 구호품 및 서비스 제공, 정부와 지자체는 주민 지원과 공공기관과의 지원 조정을 하게 된다. 일반인들의 기부금도 받는다.

 일본에서는 2000년 NGO와 기업·정부가 해외 재해지역을 긴급 지원하는 ‘재팬 플랫폼’을 발족, 각종 재해지역에서 활동해왔다. 올해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당시 각국의 지원을 받게 되면서 국제적인 상호지원조직의 필요성을 절감, 아·태 재해지원 기구 설립을 서둘렀다. 사무국은 당분간 일본에 둘 예정이다.

 아시아 지역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세계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한 사망·행방불명자의 약 80%를 차지했을 정도로 재해 피해가 집중돼 있다.

현재 피해국마다 인프라 복구와 경제 회복에 소요되는 자금이 연간 평균 150억 달러에 달하지만, 기후온난화에 따른 기상 이변으로 피해 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다. 최근 중국과 일본의 대지진, 호주 대홍수와 뉴질랜드 지진 등 역내 재해가 빈발하면서 올 들어 아시아 전역의 재보험료는 큰 폭으로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외 지역의 재보험료율은 올해 10~20%의 인상이 예상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동결됐던 일본의 재보험료율도 3·11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올해 5%가량 인상될 전망이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