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子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500년을 내다본 혜안의 큰 스승
東亞의 경제회복 儒家사상과 연관
"大義를 취하면 大利는 저절로 오는 것"
유가철학 美,佛 민주주의 정착에 영향

금년 9월 28일은 인류의 스승 공자(孔子)가 탄생한지 2천5백50
년이 되는 해이다. 이에 맞추어 한국,중국,일본 등의 유교 관
련단체들은 다양한 기념행사를 벌이고 있다. 최근 베이징시(北
京市) 문물관리국은 '공자 문화 활동주간'으로 설정하고 쿵먀
우(孔廟)에서 학술좌담회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들은 세기말에 놓인 인류가 한 성인을 추모하는 단
순한 행사가 아니라 공자로부터 21세기를 살아갈 지혜와 정신
적인 동력을 얻어 중화민족의 부흥을 꾀함에 있다고 전문가들
은 지적한다.

현대화에 대한 공자의 기여

인류의 스승 공자는 현대 중국인의 뇌리에서 점차 잊혀져만 가
는가? 몇 년 전 한 기관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인생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 위인 10명을 꼽으라'는 설문조사를 했는데
그중 공자를 거론한 학생은 거의 없었다. 이는 젊은 층에서 공
자가 이제 더 이상 유학(儒學)을 창시한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
아니라 한낱 골동품으로 전락, 홍콩이나 타이완(臺灣)의 연예
계 스타들보다도 지위가 떨어졌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베이징동방도덕연구소의 왕띠옌칭(王殿卿) 소장은 "유
가사상은 이미 중국뿐 아니라 동남아 전지역의 문화 속에 깊이
뿌리박아 역사의 앞길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70년대 이후 '아시아의 네 마리 용(亞洲四小龍)'은 20년간 혁
혁한 경제발전을 거듭했다. 이러한 현상은 유가사상이 그 원동
력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97년
아시아 금융위기로 경제발전이 돌연 주춤하자 많은 유학이 현
대화에서 어떤 지위를 갖느냐는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급변을 겪었다. 심지어 유학은 파산했다고 선언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이러한 견해들에 대해 왕 교수는 유학의 인본주의 정신과 사회
적인 책임의식이 원동력이 되어 아시아 경제는 다시 살아나고
있다며 "중국은 무풍지대에 있지 않느냐"고 반문한다.

공자의 교육사상와 현대

공자의 교육사상은 케케묵은 과거의 유물에 지나지 않는가? 미
국이 공자의 생일을 스승의 날로 삼고 있는 것은 어떻게 이해
해야 할 것인가? 공자는 중국의 교육체계를 확정했을 뿐만 아
니라 '지덕체'를 중시하는 교육사상체계까지도 기초를 잡았으
며 나아가 세계교육의 발전에 심원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렇다면 다가올 21세기에도 그는 과연 우리들에게 교육의 방
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인가?

최근 개최된 중국교육공작회의에서는 '소질교육'이라는 명제를
향후 교육의 목표로 설정했다. 그런데 이 소질교육이라는 것도
알고 보면 공자가 생전에 그토록 강조했던 창조성 개발과 일치
하는 것이다. 공자의 교육사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완전한 인격형성이었다. 최근 우리의 학교교육은 단순히 지식
의 전수에 급급한 나머지 인성교육은 소홀해지고 있다. 공자의
최종적인 교육관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학교교육도 개선이 시
급함을 알 수 있다.

'논어'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공자는 일생동안 변변한 벼슬자리 하나 얻지 못했으나 인류의
영원한 스승이 되었다. 그것은 '논어'를 통해 우리에게 지금까
지도 어떤 계시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논어의 현대적 가치는
무엇인가? 논어를 대표로 하는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은 개인
수양을 통해 궁극적으로 단체정신과 자신의 책임의식을 진작시
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시장경제의 핵심은 물질적인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다. 그렇다면 공자가 주장해 왔던 '의리를 중시하고 이익을 버
리라'는 말은 시장경제에 위배되는 말인가? 우리가 다시 논어
를 가만히 뜯어보면 '선의후리(先義後利=먼저 의를 따진 다음
에 이를 구하라)', 즉 대의(大義)를 구한 다음에 대리(大利)를
얻게 된다는 뜻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현대사회는 신용사회다. 먼저 대의를 통해 대리를 취할 수 있
다는 공자의 말씀은 마치 2천여년 뒤를 내다본 혜안이 아닐 수
없다.

공자는 세계적인가?

미국 뉴욕시의 맨해튼 거리에는 2층 건물 높이의 공자상이 우
뚝 버티고 서 있다. 헐리우드의 오락영화에서도 종종 공자의
말씀이 튀어나온다.

공자가 동양인이었던 까닭에 현재 동남아 대부분의 국가들은
공자를 숭상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의 경우 국가의 윤리준칙
이 바로 유가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유가사상은 이미 학교
의 정식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공자의 유가사상이 유럽으로 전해진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
지만 일순간에 유럽 대륙 전체에 번져 '중국문화의 붐'을 조성
하기에 이르렀다. 라이프니츠 같은 사상가들도 뒤늦게 공자를
숭배했으며 미국의 한 한학자는 '공자와 중국의 도'라는 그의
저서에서 "프랑스 대혁명을 배경으로 하는 민주의식의 발전에
공자의 철학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간접적으로 미국 민주
주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1985년 미국
에서 출간된 '인민연감핸드북'에는 세계 10대 사상가 중 공자
가 수위에 올라있다.

어떤 구미의 학자는 21세기는 '동방의 시대'라고 단언하고 있
다. 최근 세계경제의 중심은 중국으로 조금씩 기울고 있으며
유학 또한 점차 환영받는 학문으로 인정되고 있다. 미국을 비
롯한 유럽의 많은 대학들은 중국경제가 고대문화에 근간을 두
고 있음을 감지하고 중국인의 문화 및 의식형태를 이해하기 위
해 공자와 관련된 학과들을 개설하고 있다.

공자는 중국인이었으나 그의 영향은 세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蔣迎春/北京晩報)

* 본 정보는 한중경제교류중심 제공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