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 아산신도시 탕정지구 사업축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토지보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농협 등 금융기관에서 빚을 내 다른 지역의 농지를 매입하거나 생활비 등으로 사용한 농민이 적지 않다.

26일 지역주민과 농협 등에 따르면 이 지역 주민 중 상당수가 탕정농협 등 금융기관에서 빚을 얻어 썼고, 그 규모가 1200억원에 달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아산신도시 2단계 개발 면적 1764만3000㎡ 중 70.6%인 1247만 3000㎡의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

은행 빚 생각하면 한숨만

LH공사가 개발을 완료했거나 시행중인 지역은 아산신도시 전체면적 2131만7000㎡의 41%인 884만4000㎡(2675평)이며, 사업성이 큰 지역이다.

반면 개발이 배제되는 아산신도시 2단계 지역은 단독주택 용지와 자연공원, 녹지로 계획된 곳으로 아산시 배방읍·탕정·음봉면과 천안시 불당·신방·백석동 일원이다. 1994년 추진발표 후 현재까지 16년이 지났으나 아직도 보상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은 사업 중단 시 개발이 쉽지 않고 환경 친화적 도시건설이라는 본래 취지에도 맞지 않아 자족기능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단계 지역이면서도 1단계 사업과 연계해 개발이 예정된 곳 중 천안 지역은 보상이 끝났다. 아산 지역 미 보상 토지는 9월부터 본격 보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지역에 대한 개발 축소 계획이 확정되면 지난 12년간 재산권을 침해 받은 주민들의 집단 행정소송이 봇물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사업 백지화 해달라

아산시는 아산신도시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충남도에 협조를 요청했으나 결과는 불투명하다. 복기왕 아산시장은 23일 안희정 충남도지사를 찾아가 조속한 사업추진을 위한 충남도의 역할을 요구했다.

이날 복 시장은 “아산신도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된 곳으로 대상지역 주민들이 금융부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산신도시는 충남도의 주요계획이다. 충남도의 장기발전계획의 전면 재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탕정신도시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LH공사는 ‘정치적으로 재정난을 풀 수 있는 해법을 찾지 않는 한 사업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다. 주민들은 ‘사업을 백지화 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싼값에 토지를 내놓더라도 우선 금융이자 부담이라도 줄여보겠다는 절박함이 있다”고 말했다.

장찬우 기자 (gloc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