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 시인의 삶과 추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9일 타계한 대여(大餘) 김춘수 시인은 평생 시 세계의 변모를 추구한 타고난 시인이었다.

고인의 시 세계는 대략 네 시기로 구분된다.

관념적인 시쓰기에 빠졌던 1950년대가 그 첫번째 시기다. 대표작 ‘꽃’도 이 시기에 씌여졌고 1959년 출간된 시집 『꽃의 소묘』에 실렸다. 생전 고인은 “‘꽃’을 연애시로 생각해서 다들 좋아하는 것 같은데 사실은 사물은 이름지워야 어둠에서 밝은 곳으로 나온다는 점, 모든 인간은 숙명적으로 고독하기 때문에 유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힌 시”라고 밝힌 바 있다. 연애시가 아닌 관념시임을 밝힌 것이다. 교과서에 실렸던 국민적 애송시 ‘꽃’은 한 방송사 조사에서 연예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로 선정되기도 했다.

60년대 들어 고인의 시 세계는 의미 없는 이미지만을 나열하는 언어 유희같은 무의미 시로 빠져든다. 이후 60년대 말에서 70년대 전반까지 이미지에서 탈출하는 시기, 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 초반까지 종교와 예술에 대한 성찰을 담담히 읊은 시기로 고인의 시 경향은 옮아 간다.

김종길 시인은 고인의 그런 시력을 두고 “예술파하고 할까, 노상 실험적인 변신과 변모를 거듭해 나가는 순수주의자이자 실험주의자였다”고 평했다. 덕분에 고인은 참여시의 선두격인 김수영에 대비되는 순수시 계열의 대표격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22년 경남 통영의 만석군 집안에서 태어난 고인은 전형적인 부잣집 도련님이었다. 김종길 시인은 “귀하게 자란 탓인지 자기 만의 세계에 빠져드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구석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다른 구석’은 종종 돌출 행동으로도 나타나, 경기중학교의 전신인 제일고보 5학년 때는 졸업을 불과 몇달 앞두고 일본인 담임 선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 만으로 퇴학원서를 제출한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日本) 대학 예술과에 입학해 문예창작을 공부한 고인은 해방 후 고향에서 유치환ㆍ윤이상 등과 함께 통영문화협회를 만들어 예술운동을 전개했다.

48년 첫 시집 『구름과 장미』를 출간하며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해 『늪』『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처용』『서서 잠자는 숲』 등의 시집을 남겼고 예술원상ㆍ대한민국문학상 등을 받았다. 영남대 문과대학장ㆍ문예진흥원 고문ㆍ한국시인협회장ㆍ예술원 회원ㆍ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다.

타고난 예술가였던 고인은 그러나 강직하지는 못했다. 영남대 문과대학장을 지내던 80년대 초반 신군부의 압력을 받아 11대 국회의원을 지내 오점을 남기기도 했다.

고인은 말년에도 왕성하게 창작활동을 펼쳐 최근 1년 간 각종 문예지에 16편의 시를 발표, 본사가 운영하는 미당문학상 1심을 통과하기도 했다. 또 지난 2월에는 자신의 문학인생을 정리하는 5권짜리 전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고인은 투병중이던 지난 11일 제19회 소월시문학상 특별상 상금 30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전액 내놓기도 했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