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택시요금 인상…서비스 개선은 차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울시내 택시 요금이 이달 말 무려 25% 이상 인상되지만 서울시가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던 서비스 개선 약속의 이행은 차질이 불가피해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더욱이 일부 택시기사들마저 "요금이 올라도 사납금만 오를 뿐 승객에 대한 서비스가 나아질 리 없다" 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는 형편이어서 이번에도 요금만 오르고 택시들의 고질적인 횡포는 여전할 것이란 우려가 지배적이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물가대책심의위원회를 열어 택시 요금을 25.28% 올리기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일반 택시의 기본요금이 현행 1천3백원에서 1천6백원으로, 모범택시는 3천원에서 4천원으로 각각 오른다.

◇ 서비스 개선 차질=시는 당초 이번 요금 인상에 앞서 서울시내 7만여대(개인 4만7천대.법인 2만4천대)의 택시에 영수증 발급기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또 콜서비스 회사 세개를 만들어 각각 5천대 규모로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즉 택시업체들의 원가 보전요구를 수용하되 동시에 서비스도 개선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요금 인상을 불과 열흘 정도 앞둔 19일 현재 콜 서비스는 개인이나 법인 택시 모두 진행이 더뎌 11월께나 일부 시행이 가능한 실정이다. 시는 당초 개인택시 1만대와 법인택시 5천대로 콜서비스 택시를 운영할 예정이었으나 개인택시의 경우 6천대만 신청한 상태다. 또 모든 차량에 설치하겠다던 영수증 발급기도 현재 전체 개인택시의 20%, 법인택시의 17% 가량만 설치했을 뿐이다.

◇ 기사들의 반발=고객들을 직접 상대하는 기사들의 반발도 서비스 개선을 기대하기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서울시내 2백59개 택시회사 중 2백33개 회사 노조가 속해 있는 전국택시노조 서울지역본부 등은 "이번 요금 조정은 운송 원가 보존만을 염두에 둔 것으로 운전자의 처우개선에는 별로 중점을 두지 않았다" 며 "기사들의 노동환경이 나아지지 않는데 서비스가 개선될 리 있겠느냐"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황인봉(黃寅奉)운수물류과장은 "영수증 발급과 콜서비스는 기기 제작에 시간이 걸려 요금 인상 후 적어도 1~2개월은 지나야 이뤄질 수 있을 것" 이라며 "콜서비스 응답 의무화 등을 실시해 서비스 수준을 높이겠다" 고 말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