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테마 파크' 8곳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전국 8개 지역에 디지털 문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특화문화산업단지(테마 파크)가 조성될 예정이다.

문화관광부는 올해 중점사업 중 하나로 첨단 디지털 문화콘텐츠 산업을 장려하기 위한 단지조성작업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마련한 계획에 따르면 산업단지가 조성될 지역은 광주(영상.애니메이션.게임산업).대전(영상.게임).춘천(애니메이션.만화).수원(게임).광명(음반).부천(출판만화.애니메이션).청주(게임.인터넷).김해(도예) 등이다.

이 가운데 광명시와 광주의 경우 투자액이 3천억원을 넘는 등 사업규모가 작지 않다. 춘천의 경우도 모두 9백98억원이 들어가며 부천은 9백26억원을 들여 문화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같은 거창한 규모의 단지 조성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느냐에 대해서는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역문화의 특성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전형적인 개발 논리에 휘둘려 실제 사업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시민단체 등은 "현지에서의 실제 수요 등을 꼼꼼히 따져보지 않은 채 단지 조성만 서두르다 보면 자칫 공허한 결과를 초래하기 십상" 이라고 지적한다.

광주의 경우 곧 이전하는 전남도청 부지 등 98만3천여평에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지만 실제 이곳에 입주할 업체가 얼마나 되겠느냐는 것이 문제다.

또 광명시의 경우 지자체와 음반업계간에 여러차례에 걸친 협의가 있었다고는 하나 단지가 들어설 지역이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이를 푸는 문제를 두고 상당한 논란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예촌을 만든다고 하는 김해의 경우도 우리 도자기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는 경기 지역을 제쳐두고 과연 얼마만큼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문화관광부 관계자는 "새로 조성하는 단지에는 문화와 관광을 위한 산업기지의 역할뿐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레저 공간 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할 방침" 이라며 "업체를 대표하는 전문가와 단지조성 전문가, 관련 학과 교수 등 15명 내외의 심의검토위원을 선정해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단지 조성비를 일부 부담하고 입주업체의 산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물류 시설 등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만들어 단지 조성을 촉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업체들이 생산 기지를 대부분 수도권에 두려는 점과 지자체들이 단지조성을 위해 세운 민자유치 계획의 성사 가능성이 크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하면 정부의 이 계획은 표류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유광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