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회담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상회담 후속대책 중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6.15남북공동선언' 을 구체화하기 위한 당국회담 준비다.

16일 박재규(朴在圭)통일부장관 주재로 열린 정상회담추진위원회 회의도 당장 발등에 떨어진 당국회담 계획 수립에 무게가 실렸다.

정부 당국자들은 남북한이 가장 먼저 머리를 맞대게 될 사안을 이산가족 문제로 보고 있다.

6.15공동선언이 8.15에 즈음한 이산가족 방문단의 교환을 못박고 있는데다 김대중 대통령이 "적십자 회담이 이달 중 열릴 것" 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대한적십자사와 통일부 관계자들은 "고향방문단 참가를 희망하는 이산가족 신청 접수와 북한과의 회담 준비에 일정이 촉박하다" 고 입을 모은다.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통 크게 해결하겠다' 는 입장을 밝힌 만큼 1985년 9월 때의 실향민 50명보다 크게 늘어날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

적십자 회담은 과거 사례로 볼 때 사무총장급의 수석대표를 포함해 3명 정도가 참여할 예정이다.

회담장소는 판문점이 유력하지만 서울.평양을 오가며 할 가능성도 있다.

이 회담에서는 이산가족 방문단의 규모와 시기가 집중 논의된다.

또 서신교환을 위한 우편물교환소와 이산가족 면회소를 짓는 문제가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남북 경제협력과 북한에 대한 인프라 지원을 논의할 경제회담은 장관급 인사가 참여하는 형태가 유력하다.

우리측에서 이헌재(李憲宰)재경부장관이, 북측에서는 박남기(朴南基)국가계획위원장이 거론된다.

또 전경련과 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의 참여도 검토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임진강 유역의 공동 수방(水防)대책과 경의선 철도 단절구간(25㎞)의 복원 등이 논의될 것" 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사회.문화.체육.보건.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협력이 6.15공동선언에 담긴 만큼 이를 소화하기 위한 회담이 열려야 한다.

정부는 장관급 인사가 함께 참여하는 각료회담이나 각 분야 전문가 회담이 열릴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또 일정 조율이나 회담지원을 위해 국회회담 등 비당국 접촉도 챙기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다음주께 당국대화 시간표의 가닥이 잡힐 것" 이라며 "두 정상의 합의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만큼 과거처럼 도중하차할 가능성은 작다" 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