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IT] 벤처, 거품 걷히면 진가 드러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0면

닷커미즘에 대한 믿음 하나만 갖고 벤처의 정글로 몸을 던진 사람들은 미국에도 수없이 많다.

대기업의 화려한 자리를 박차고 나온 이들은 커피 한 잔 살 돈 없지만 멋진 꿈을 갖고 있는 닷컴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손을 잡고 행복한 희망을 키웠다.

그러나 이들 닷컴 신봉자가 요즘 헷갈리고 있다. 닷컴회사들은 그동안 수많은 날들을 애태운 끝에 몸집을 키운게 사실이다. 그래서 불과 몇 개월 전만 해도 사람들은 우스갯소리로 말했다.

"이러다간 온라인회사들이 오프라인회사들을 다 사버리겠어. "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바뀌고 있다.

인터넷회사라는 명함만 들이대면 들어오던 돈들이 이제 사라진 듯하다. 심지어 사람들은 이제 신(新)경제의 꿈을 거두고 구(舊)경제 체제로 회귀해야 하지 않을까 고려하고 있다. 물론 이 반혁명으로 가는 길을 연 것은 '폭락 증시' 다.

한국의 경우는 더 특별하다. 지난주 발표된 코스닥 등록법인 3백63개사의 1분기 영업실적을 통해 벤처기업들의 허와 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표 벤처기업들의 영업수지는 대부분 적자였다. 미국에서 99년 한 해 동안 벤처자본가들은 20억달러의 투자금을 1천8백여 회사에 쏟아부었다.

그러나 지난 해 주식을 상장한 회사들의 주가는 상장때에 비해 지금은 반토막난 상태다. 뿐만아니라 지난 3월 10일부터 현재까지 13건의 주식상장이 연기 내지는 취소됐다.

올해 상장을 해 엄청난 주가를 기록했던 바이닷컴(http://www.Buy.com)이나 펫츠닷컴(http://www.Pets.com)은 현재 상장가의 50%와 30%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닷컴은 물건은 잘 팔되 돈을 못버는 경우. 광고를 통해 수입을 만회해 보겠다는 사업전략을 갖고 있지만 투자가들의 믿음을 얻지 못한다.

펫츠닷컴은 오프라인의 강자인 페토피아(Petopia)나 페츠마트(Petsmart)사이에 끼여 고전을 하고 있다.

때문에 이전에 자랑스럽게 내달던 닷컴이란 어미(語尾)가 꼬리를 감추고 있다. 닷컴이란 이름을 달았다가는 혹시 꿈만 먹고 사는 벤처 중 하나로 오인될까 봐 그렇다고 한다. 대신 오프라인 기업들은 경쟁력을 다시 과시하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인 에스티 라우더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화장품 전자상거래업체인 글로스(http://www.Gloss.com)를 사들였다.

거대 소매상인 토이스러스나 월마트는 이제 마음만 먹으면 온라인 상가 안으로 성큼 걸어 들어가 원하는 대로 가게들을 인수할 수 있게 됐다.

인수와 합병, 줄어든 닷컴 주자들과 그들의 광고, 그리고 제한된 소수의 주식상장. 이런 현상이 뜻하는 바는 무엇일까. 불과 몇 년 전의 그 때 그 시절로 돌아가는 것은 아닐까. 여기서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나 시스코 같은 회사가 하루 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님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수년 간에 걸친 땀과 피와 눈물 덕에 거대기업이 된 것이다. 진실로 인터넷을 이해하고 땀 흘리는 진정한 벤처들에게는 지금처럼 거품이 걷히는 것은 희소식이 될 것이다.

이젠 진짜만이 드러날 차례이기 때문이다.

신성희 뉴욕 퀀텀리서치 대표 (sunghees@yahoo.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