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보고서'수사] '최초보고서' 추적 수사망 좁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태정(金泰政)전 검찰총장을 구속한 대검 중수부는 수사의 초점을 사직동팀 최초 보고서로 추정되는 문건 작성기관과 작성자 추적에 집중하고 있다.

수사 관계자들은 문건이 사직동팀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문건에 적힌 내용들이 구체적인 데다 작성 시점도 사직동팀의 본격 조사가 시작되기 직전인 올 1월 중순이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를 입증할 만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金전총장은 검찰에서 "사직동팀에서 나오지는 않았다.

개인 차원에서 받았지만 기억이 안난다" 며 출처에 대해 끝까지 함구했다.

사직동팀장인 최광식(崔光植)총경과 옷 로비 조사실장인 鄭모 경감 등도 "사직동팀 보안시스템상 절대로 문건이 유출될 수 없다" 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관들은 "사직동팀에선 문서를 반드시 한부만 만들어 직속 상관을 통해 보고하며, 누가 어떤 컴퓨터로 문건을 만들었는지가 정확히 드러나게 돼 있다.

건물 안에선 복사도 못하게 돼 있어 문건 유출은 상상할 수 없다" 고 강조했?

하지만 이종왕(李鍾旺)대검 수사기획관은 6일 "문서 작성.전달자가 기관일 수도 있고 개인일 수도 있지만 확인된 게 없다.

그래도 수사는 계속하겠다" 고 밝혔다.

검찰은 이날 崔총경을 비롯한 사직동팀 관계자들을 다시 소환했다.

이는 검찰이 사직동팀에 여전히 혐의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검찰은 또 수사검사를 서울구치소로 보내 金전총장도 재조사했다.

검찰의 초기 문건 수사는 곧바로 박주선(朴柱宣)전 청와대 법무비서관의 사법처리 여부와도 연계돼 있다.

만일 문건이 사직동팀에서 나오지 않았다면 朴전비서관에 대해선 더 이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하지만 문건이 사직동팀 것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검찰이 "朴전비서관에 대해선 수사 결과에 따라 유동적" 이라고 강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제3의 가능성도 있다.

문제의 문건이 사직동팀 공식 채널을 통해 흘러나온 게 아니라 사직동팀 내의 누군가가 개인적으로 정보를 입수, 내용을 정리한 뒤 金전총장에게 건네줬을 수 있기 때문이다.

金전총장은 검찰에 소환되기 전 "내가 총장이 되니 여러 군데서 정보를 갖다주더라" 는 말을 했다.

현재로선 수사가 미궁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 경우 쏟아질 여론의 비난을 검찰은 우려하고 있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