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처리장 10곳중 5곳 공사중단 예산만 낭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소.돼지고기의 유통구조를 선진국형으로 개선한다며 건립중인 축산물 종합처리장이 업자선정 부실 등으로 총 10개 업체중 절반인 5개 업체가 공사를 중단, 현재까지 부실집행된 예산만 2백65억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완공된 공장도 가동률이 40%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같은 사실은 농림부가 한나라당 주진우 (朱鎭旴)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 계획 = 95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은 2000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도축.가공시설을 갖춘 축산물 종합처리장을 세워 한우.돼지고기 유통량의 30~40%를 공급한다는 것. 10곳을 건립하기 위한 사업비로 1천1백84억원이 책정됐다.

정부보조.장기저리 융자가 70~80%, 축산업체 자부담은 20~30%였다.

◇ 한심한 실태 = 갖가지 비리와 문제점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북원농산 (포천) 의 경우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71억원을 업자가 개인적으로 빼돌렸다.

1백8억원이 지원된 동아축산 (군위) 은 올 3월 95%의 공사가 이뤄진 가운데 업체가 부도났다.

56억원이 배정된 진승산업 (연천) , 12억원이 지원된 거평팜랜드 (장성) 도 건물만 짓다 사업을 중단했다.

74억원을 지원받아 완공된 ㈜부천 (익산) 은 운영자금 부족으로 시설을 놀리고 있는 실정이다.

총 10개중 절반인 5개가 부실로 판명됐고 공사가 진행중인 나머지 5개도 성과가 의심스런 상황이다.

그나마 성공사례라고 강조하는 안성축산은 올 4월 개장됐으나 가동률이 소 45%, 돼지 43%에 불과해 연말까지 37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 공중에 뜬 지원자금 = 농림부는 뒤늦게 공사중단 업체들에 대해 사업자금 환수, 제3자 인수조치 등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부도가 난 업체들이 잡아놓은 담보들이 부실투성이여서 대출금 2백65억원을 떼일 가능성이 크다.

축산국은 "업체선정과 부실담보 등 문제가 있지만 완공업체에 대해서는 가동을 종용하고, 나머지 업체들은 제3자 인수 등의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고 해명했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