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사태]금융시장 마비…한국 외자조달 더욱 힘들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15일 루피아화의 거래중단과 함께 외환결제를 포함, 모든 은행간 청산거래를 중단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아시아 금융시장에 큰 파란이 예상된다. 지난 13일 달러당 1만선 밑으로 추락한 루피아화 가치는 15일 오전 1만8백루피아에 거래가 중단됐으며 자카르타 증시도 개장 직후 소량의 거래를 끝으로 시장기능을 잃었다.

인도네시아의 외환.금융시장이 사실상 완전 마비돼 송금 및 무역.투자 등이 중단된 것이다.석유가격.전기료 인상 철회로 국제통화기금 (IMF) 과의 협약을 어긴데다 총체적 혼란까지 겹쳐 IMF.선진국의 지원마저 유보됐다.

게다가 외국인 철수로 인한 공장가동 중단 등도 경제난을 더욱 부추길 요인이다. 문제는 이것이 인도네시아의 대외 지불유예 (모라토리엄) 선언과 제2차 아시아 위기를 촉발할 것이냐 하는 점이다.

인도네시아 사태가 악화되면서 이번주 홍콩 및 동남아 각국의 주식.외환시장은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가장 우려되는 점은 국제자본의 '탈 (脫) 아시아' 조짐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日本經濟) 신문은 15일 "인도네시아 사태의 악화로 인해 국제 금융시장에서 한국.태국이 발행한 채권의 유통수익률이 오르면서 향후 외자조달을 어렵게 하고 있다" 고 지적했다.

예컨대 한국이 지난달 8일 미 재무부채권 (TB) 수익률에 3.55%의 가산금리를 얹어 발행했던 10년 만기 외평채 (外平債) 의 경우 가산금리가 14일 뉴욕시장에서 4.22%까지 올랐다. 태국도 지난주까지만 해도 10년 만기 국채의 가산금리가 2.8%선이었으나 3.3%로 상승했다.

고촉통 (吳作棟) 싱가포르 총리는 "인도네시아 사태로 아시아 경제의 장래는 짙은 안개 속에 빠져들고 있다" 며 "사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 고 밝혔다. 하지만 인도네시아가 이미 지난해말부터 민간분야에서 사실상 모라토리엄 상태에 있었고 유혈시위와 같은 악재들이 상당부분 반영됐기 때문에 당장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원배·김영훈 기자

〈oneb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