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특차제 폐지 지역할당제 도입" 대학교육자문위원회 개선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학생 이탈로 위기에 처한 지방대를 살리고 지역간 고른 발전을 위해 대학입시에서 지방대가 그 지역학생에게 선발 우선권을 주는 것을 허용하는 등 지역할당제를 도입하자는 방안이 제시됐다.

또 고교교육 정상화를 위해 상당수 대학이 사실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만으로 선발하는 특차제도를 폐지하고 현행 특기자모집 등 특별전형제도를 더욱 활성화해 대상범위를 넓히고 기준도 다양화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교육부 요청에 의해 37명의 교수로 구성된 대학개혁추진자문위원회는 12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대학개혁 대토론회' 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학입시 및 학사제도, 국립대 행.재정 제도 등 3개 분야의 개혁방안을 내놓았다.

교육부는 이날 나온 의견을 수렴, 앞으로 대학행정 개선방안에 적극 수용할 계획이다.

개선안에 따르면 입시를 대학 자율에 완전히 맡기는 대신 대학들은 자율조정기구를 공동으로 설립, 과당경쟁 등 입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스스로 해결토록 하며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 수능 난이도는 가능한 한 계속 낮추고 통합교과형 출제방식을 유지하도록 건의했다.

부작용이 많은 국립대의 총장 직선제도는▶총장 공모제도▶총장후보추천위에서 추천한 인사중 총장선정위가 선출▶교수평의원회나 학장회의에서 선출▶정부추천인사에 대한 신임투표 방안 등 개선안을 제시했다.

또 총장후보 자격요건 강화, 총장직의 정년제한 규정 철폐, 외부인사의 총장후보 추천기회 확대 등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