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2000년 문제]각국 대응전략…미국·일본등 민관 공동대책 협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밀레니엄 버그 해결작업이 가장 활발한 나라는 미국이다.

현재 각 주 (州) 정부 등 대부분 기관에서 수정·보완작업을 벌이고 있다.

기관별로 전담반을 만들어 대표자들이 정기적으로 접촉, 공동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달말에는 40여개주 대표와 정부기관 관계자등 1백여명이 모여 문제해결의 표준화기준을 채택했다.

미 관리예산국 (OMB) 은 공공부문 문제해결에 28억달러 (약 2조6천9백억원) 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IBM·GM 등 대기업들도 작업에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는 95년부터 정보통신업계 중심으로 문제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정보서비스산업협회에서는 지난해 '2000년문제위원회' 를 발족해 기업.관공서 등 3천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으며 금융기관중 약 3분의 2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통산성은 기업들의 기기 수선비용과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에 대한 세금우대를 고려하고 있다.

영국정부는 지난해 '태스크포스2000' 이라는 대책반을 설립했다.

올해 노동당 정부가 들어선 뒤 '태스크포스2000' 대신 1백만파운드 (약 16억원) 의 기금을 조성, '액션2000' 이라는 새 조직을 만들었다.

영국은 특히 이 문제에 무관심한 다른 유럽국가들에게 유럽연합 (EU) 을 통해 계속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제연합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도 지난달 "내년 3월까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 이라고 밝히는 등 국제기구의 대응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차원의 대응은 미비한 상태다.

독일과 프랑스등 유럽 주요국가들도 정부차원의 대응책이 전혀 없으며 EU도 영국의 문제제기에 무관심하다.

특히 유럽 대부분 국가는 유럽단일통화 출범에 대비해 컴퓨터시스템을 보완중이어서 신경쓸 겨를이 없다는 입장이다.

영국의 언스트 앤 영 컨설턴트는 문제해결능력에 있어 영국은 미국보다 9~12개월 뒤처져 있고 유럽대륙은 영국에 6개월정도 뒤진 것으로 분석했다.

이 회사는 "아시아.남미의 대응은 사실상 거의 없다" 고 우려했다.

미국 정보기술 자문업체 가트너그룹은 최근 전세계 기업의 30%정도가 아무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도 항공우주국 (NASA)·자원부·핵관리위원회 같은 주요기관들이 2000년 대처능력에 있어 D나 F의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일본도 민간차원의 대비책은 어느 정도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미온적이다.

가트너그룹은 "이대로 가면 전 세계 컴퓨터의 상당수가 무방비 상태로 2000년을 맞게 될 것" 이라고 밝혔다.

윤석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