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브랜드 저평가 왜그런가 봤더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세계 33위라는 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가브랜드위원회(위원장 어윤대)는 지난 달 월드리서치와 공동으로 상사 주재원과 유학생, 다문화가정 등 주한 외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이미지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했다. 경제규모에 비해 한국의 브랜드가 왜 이렇게 저평가되는 것일까.

주한 외국인들 응답자의 48.4%(복수응답)가 북한과의 대치상황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국제사회 기여 미흡(44.1%), 정치.사회적 불안(41.5%), 이민.관광지로서 매력 부족(38.8%), 해외여행시 낮은 세계 시민의식(37.5%) 등의 순이었다. 국가브랜드 제고 방안으로는 관광여건 개선(29.7%), 국제사회 기여 확대(9.8%), 주한 외국인 배려 확대(9.2%), 해외여행시 세계 시민의식 향상(8.5%), 불안한 국가이미지 탈피(8.2%) 등이 제시됐다.

응답자들은 또 한국의 이미지로는 김치.불고기(30.4%), 한복(27.9%), 한글(16.1%), 태권도(8%), 태극기(3.6%) 등의 순으로 떠올렸고, 한국의 자랑거리로는 오랜 역사와 전통(22.8%), 음식(17.9%), 국민성(11%), 과학.기술(10.6%), 교육수준.교육열(8.8%)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는 정보통신(34.9%), 경제(13.2%), 과학기술(13%), 문화예술(8.8%), 교육(8%) 등을, 부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는 정치(29.7%), 언론(9.8%), 경제(9.2%), 외교안보(8.5%), 환경(8.2%) 등을 각각 꼽았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