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세계 물의 날' -물이 곧 국가 경쟁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물 부족은 이제 어느 한 나라에만 국한된 개별적 사안이 아니라 전 세계에 몰아닥치고 있는 심각한 현상이다.이 때문에 유엔은 매년 3월22일을'세계 물의 날'로 정해 수자원의 지속적인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

물 문제는 특히 우리 나라가 더 시급하다.먹는 물뿐만 아니라 공업용수도 모자라 가뭄 때마다 주요 공단의 생산활동이 중단되고 있다.일부에서는'물 때문에 국가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물부족 원인=한국수자원공사가 예상한 용수 수급전망에 따르면 94년말까지만 해도 연간 수요 3백1억에 공급이 3백24억으로 물 문제가 시급하지 않았지만 2011년에는 20억이나 모자랄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프 참조>

연평균 강수량이 1천2백74㎜로 세계평균(9백70㎜)보다 많으나 1인당 이용가능량은 연 3천으로 세계 평균(3만4천)의 8.8%에 불과한게 가장 큰 원인이다.

게다가 산업화.도시화로 물 사용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수질 오염으로 정작 쓰임새 있는 물은 자꾸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물부족의 한 원인이다.

이같은 실정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들은 선진국보다 물을 더 낭비하고 있다.이 때문에 물이 모자라 식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산업활동까지 위축되기도 한다.

국토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울산지역의 경우 공업용수 부족으로 가동률이 15% 떨어지면 하루 84억원의 생산손실이 생기고 1년이면 2조4천47억원의 손해가 난다.

◇대책=필요한 물을 제때 공급하기 위해서는 댐을 짓는게 가장 바람직하다.현재 건설중인 6개 댐이 99년까지 완공되고 2011년까지 28개의 댐이 계획대로 건설되면 예비율이 8.5%에 이르러 물부족 현상은 일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에 필요한 공사비 조달.20년전 저수량 20억의 소양댐 건설비로 3백21억원이 들었으나 요즘은 8억의 용담댐만 해도 1조원이 넘게 들고 있다. 〈황성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