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조제시험 無效化 먼저-韓醫大사태 학생입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의대생 최종등록이 마감돼 사상초유의 무더기 미등록 제적이 판가름나는 16일에도 전국한의과대학학생회연합(전한련.상임의장 金孝珍경희대학생회장)등 집행부는 학사 파국 사태를 이미 받아들인듯 기존입장에서 한발짝도 후퇴하길 거부했다.
그러나 동신대한의대 학생 전원이 16일 오전 등록키로 결의해11개 한의대 내부에서도 의견통일에는 혼선을 보이고 있다.
우선 전한련측은 『제적위기를 고비마다 넘길 수 있었던 학칙개정과 한의학발전계획등 정부의 조치는 사태해결의 근본을 비켜간 미봉책이었을 뿐』이라며 이같은 대량제적의 책임을 정부당국과 학교로 떠넘겼다.
지난달말부터 학교별로 자퇴서작성등 자퇴불사라는 「배수진」을 친 집행부는 『한약조제시험의 무효화 없이 타협 없다』는 일관된입장이다.
학생들은 한의대교수들의 출제장 집단퇴장,시험문제 사전유출 의혹등으로 얼룩진 지난 5월 한약조제시험에 대해 재시험 실시등 정부의 가시적 조치가 전무하다며 「후퇴 무용론」을 펴고 있다.
출제교수중 일부 약대교수에 대한 징계등 정부의 조치가 있었으나 이것만으로는 4개월간 건너왔던 「루비콘 강」을 이제 와서 되돌아갈 수 없다는 얘기다.
81일째 서울 명동성당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한의대교수비상대책위」(위원장 朴贊國경희대교수) 역시 학생들과 같은 의견을보이고 있다.
오는 11월초까지 구체적 방안이 나올 예정이라는 「한의학 육성.발전계획」 가운데 ▶공중보건의 한의사 배치▶한약사시험 자격제한등은 모두 부수적 조치일뿐이라는 것이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