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주의보만 발령하면 그만인가 숨막히는 서울 대책이 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사흘 연속 서울에 여섯차례나 오존주의보가 발령되는등 오존비상이 걸렸다.
서울시는 2일 오후2,3,4시를 기해 서울시 북동지역 8개구,남서지역 7개구,종로.용산.중.은평.서대문.마포구등 북서지역6개구등 모두 21개구에 또 다시 오존주의보를 발령했다.
서울시의 오존주의보는 지난달 31과 1일에 이어 여섯번째며 6,7월등 올들어 모두 열번째 발령됐다.이날 북동지역인 쌍문동측정소 측정치는 오존주의보 기준치(0.120)보다 0.007 높은 0.127,남서지역인 화곡동은 0.125을 기록했다.북서지역은 0.127을 나타냈다.광진.강북.도봉.성동.노원.강남.
송파구등 북동.북서지역은 사흘째 연속 발령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2회에 그쳤던 오존주의보가 올들어 급증한데는예년에 비해 올여름 기온(서울시 평균지표온도 37.1도)이 높고 풍속(초당 평균 1.2)이 없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다.그러나 서울시는 오존오염에 무방비상태다.
서울시와 환경전문가들은 오염발생의 근본 원인을 오존발생 요인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경유자동차(대형버스.지프.화물차등 디젤엔진자동차)의 증가 때문으로 지적하고 있다.
서울시내 경유사용 자동차는 지난해 45만여대에서 올해 46만대로 늘어나 증가추세다.
이는 전체 자동차대수(2백10만대)의 20여%에 불과하지만 오존을 일으키는 질소산화물 발생량은 전체 자동차배기가스량의 70%에 육박하고 있을만큼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에따라 94년부터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경유자동차에 「매연후처리장치 부착」방침을 발표했다.그러나 2년이 지난현재 1백여대의 시내버스와 청소차에만 이 장치가 시범부착된 상태인데다 이 장치가 고가여서 업체들이 부착을 기 피,아직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의 배기가스단속이 겉돌고 있는 것도 한 원인.
서울시는 올초 오존오염 취약지구인 쌍문.길음.불광.성수등 4곳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이 지역을 지나는 자동차에 대해시간을 정해 배출가스 특별단속을 벌이고 있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전문가들은 『오존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유사용 자동차를 점차 줄여 나가는 한편 차량의 배기가스를 철저히 단속하고 자가용등 각종 차량의 운행을 억제해 나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지적했다.
최형규.양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