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키우기] 6월 24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생각 키우기

▶공통

①디자인은 ( )다.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보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세요.

☞디자인 하면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를 말해 보세요.

②휴대전화·가방·신발 등에 꾸밀 나의 캐릭터를 만들어 보세요.

③전자제품이나 학용품 등 한 가지 제품을 정해 디자인을 새롭게 바꿔 보세요.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바꿀 모양새를 스케치로 표현해 보세요.

④디자인이 소비 행태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세요.

▶초급용

⑤디자인이 없다면 어떤 불편함이 생길지 나름대로 상상해 보세요.

⑥서울시교육청이 중·고교 과정에 디자인 과목을 신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⑦‘디자인이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내용을 포스터로 표현해 보세요.

⑧소비자들이 상품을 선택할 때 이성보다 감성이 우선한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자신은 학용품이나 선물을 살 때 어떤 점을 먼저 고려하는 편인가요?

▶고급용

⑨서울시를 포함해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도시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보세요.

⑩‘디자인의 힘’은 상품 마케팅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 속에서 디자인의 위력을 느끼게 하는 사례들을 들어 보세요.

⑪혁신적인 디자인으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한 사례를 신문에서 찾아 300자 안팎으로 요약해 보세요.

⑫최근 세계 유력 신문들은 독자가 읽기 편하도록 신문 크기를 바꾸고 있습니다. 중앙일보도 내년 3월부터 현행 신문 크기의 72%인 ‘신(新)중앙판’(323×470mm)으로 바꿀 예정입니다. 이럴 경우 기사·제목·사진·광고 등 신문 편집 디자인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자신이 편집기자가 돼 이번 주 NIE 기사를 신중앙판으로 디자인해 보세요.

☞본지 일요판 신문 ‘중앙SUNDAY’ 홈페이지(sunday.joins.com) 참조

⑬디지털 시대에는 기술표준이 이뤄져 성능보다 디자인이 중요해졌다고 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1000자 안팎으로 논술하세요.

※NIE 제작에 참여하신 분=▶중앙일보 NIE 교사 연구위원 : 김영민(명덕외고)·성태모(능주고)▶중앙일보 NIE 강사 연구위원: 이정연·심미향·정옥희

※참고하세요=2008년 6월 10일 14면(도청 신도시 건물마다 공공디자인 도입”), 5월 28일자 14면(디자인 서울 ‘명품 도시’ 시동) 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