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기업 유치 종합대책 세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일본 기업을 잡아라.』 超엔高의 여파로 일본 기업들의 해외이전이 가속화될 전망인 가운데 이를 유치하기 위한 종합대책 마련이 추진되고 있다.
1일 재경원.통산부등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광주.천안등 외국인 전용공단의 입주 업체에 대해서는 부품.시설재등을 일본에서도 들여올 수 있도록 수입선다변화 제도를 적용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 이들 기업에는 첨단 고도기술산업과 동일한 조세감면 혜택을주고 땅값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분양보다는 임대비율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대한(對韓)투자 가능성이 높은 자동차 부품.전자부품.산업용 기계등 유망업종 유치를 위해 올해안에 두차례 일본에 사절단을 보내기로 했다.이와함께 일본기업들이 해외에서의 부품 조달을 늘릴 것에 대비해 국산부품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한국부품 종합전시회」를 오는 11월 도쿄에서 열 계획이다.
또 현재 주물.실린더.센서.자기헤드등 4개 품목에서 진행중인「韓日중소기업 협력모델사업」의 품목수를 더 확대하고 기계.소재및 부품류의 국산화를 위한 시제품개발자금 지원규모를 올해 1천2백억원에서 내년에는 2천억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세우고 있다.
통산부 관계자는 『금명간 마련될 超엔高 대책에 이같은 방안들을 포함시키기로 관계부처와 협의중』이며 『일본의 해외생산기지 이전을 계기로 우리나라를 세계적인 부품공급기지로 육성하기 위한것』이라고 그 취지를 설명했다.
한편 日 노무라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93~96년 사이에 일본은 승용차의 경우 해외생산비중을 32%에서 36%로 높이고 퍼스컴은 5%에서 40%로,VCR는 50%에서 70%로 각각 높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閔丙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