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케슬러 신드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지난해 1월 11일 중국은 미사일을 발사, 용도폐기된 자국의 기상위성 펑윈(風雲)-1C를 격추했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위성 공격용 미사일 기술을 보유한 세 번째 국가가 됐다. 21일엔 미국이 고장난 자국의 대형 첩보위성을 미사일로 격추할 계획이다. 지구로 추락하게 내버려두면 연료로 사용하는 독성 물질로 인한 인명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를 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는 군비경쟁 우려를 낳고 있는 미사일 방어계획을 현실화하려는 실험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우주를 대상으로 한 군비 경쟁 못지않은 문제가 있다. 파괴된 위성의 잔해가 만드는 엄청난 우주 쓰레기다. 지난해 펑윈 위성이 뿌린 파편은 수십만 개. 직경 5㎝가 넘는 것만도 2600개에 이른다고 한다. 파편은 대개 초속 5~7㎞의 속도로 궤도를 돌기 때문에 그 자체로 폭탄이나 다를 바 없다.

1980년 발사된 지 몇 달 만에 신호가 끊긴 태양 관측 위성 솔라맥스의 경우를 보자. 84년 우주왕복선이 올라가서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밥상만 한 기기판에 무려 150여 개의 구멍이 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깨알보다 작은 파편들이 산탄총알처럼 박혔던 것이다. 95년 프랑스 인공위성에 부착된 6m짜리 팔을 부순 것도 우주 쓰레기다.

2001년 3월엔 미국 등 15개국이 공동 제작하는 국제우주정거장이 궤도를 수정해야 했다. 미국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비행사가 정거장 건설작업을 하다가 공구를 하나 놓친 탓이다. 이게 떠돌다가 우주선과 충돌할 수 있다고 미 항공우주국(NASA)은 우려했다.

인류는 지난 수십 년간 빈 연료탱크에서 공구, 금속 파편에 이르는 쓰레기를 우주 공간에 뿌려왔다. 현재 NASA는 3100개의 인공위성 외에도 직경 5㎝가 넘는 우주 쓰레기 9300여 개를 감시하고 있다. 1㎝짜리 쓰레기는 수십만 개에 이르지만 추적도 불가능하다. 이 정도 크기라도 인공위성에 충돌해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다. 1978년 도널드 케슬러 박사가 제기한 ‘케슬러 신드롬’이 떠오르는 이유다. 우주의 쓰레기 파편이 다른 파편이나 인공위성과 연쇄적으로 부딪쳐 기하급수적으로 숫자가 늘어나면서 지구 궤도 전체를 뒤덮는다는 시나리오다. 우주선이나 위성 발사가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말이다. 위성이 없으면 미국의 군사·통신 시스템은 마비되다시피 한다. 이 또한 미국의 큰 걱정거리 중 하나라는 점은 아이러니다. 

조현욱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