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 현대 유일한 자산운용사 자금유치에 큰 도움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현대가(家)가 자산운용시장에 다시 뛰어든다. 현대해상투자자문의 박종규(사진) 사장은 10일 “지난 주말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자산운용사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연말까지 국내주식형 공모펀드를 선보이고, 내년 1월에는 해외펀드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현대인베스트먼트는 범(凡)현대가의 유일한 자산운용사로 자리 잡게 됐다.

현대해상그룹의 최대주주는 고 정주영 회장의 7남인 정몽윤 회장이다. 과거 현대가엔 ‘바이코리아’ 펀드로 유명한 현대투자신탁운용이 있었지만, 2004년 푸르덴셜에 인수돼 ‘푸르덴셜자산운용’으로 이름을 바꿨다. 다음은 박 사장과 일문일답.(※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중장기 비전은.
 
“앞으로 5년 안에 자산을 13조원 규모로 불려 회사를 업계 20위권까지 올려놓겠다. 범 현대가의 유일한 자산운용사인 만큼 자금 유치에 음으로 양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애초 ‘현대자산운용’으로 이름을 지으려 했다는데.
 
“고 정몽헌 회장 계열인 현대증권이 이미 ‘현대자산운용’을 등록해 놨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현대증권도 수년 내 자산운용사를 출범할 계획이다.)
 
-현대증권은 물론 현대차그룹도 증권업에 뛰어들겠다고 했다. 범 현대가끼리 경쟁이 되는 것 아닌가.
 
“범 현대계열에서 자산운용업의 적통은 현대해상이 갖고 있다. 제조업 쪽에서 금융 쪽에 뛰어들어 경쟁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마침 운용사를 시작하는 내년 증시전망이 어두운데
 
“작은 운용사로서는 약세장이 차라리 낫다. 강세장에서는 (미래에셋과 같은) 대형사가 구조적으로 잘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어떤 운용사로 키우고 싶나
 
“박현주 회장과 이채원 전무(한국밸류자산운용)의 운용철학을 합친 회사로 만들고 싶다. 박 회장의 미래에셋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을 고르는 혜안이 있다. 이 전무(운용본부장)가 속한 한국밸류자산운용은 가치주 투자철학을 고수하며 꾸준히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회사다.”
 
-최근 선행매매 소문으로 자산운용업계가 혼란스럽다.

“펀드매니저에겐 고도의 윤리의식이 필요하다. 일부 젊은 펀드매니저들에게 이 부분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선행매매가 실제 이뤄지고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일부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선행매매란 펀드매니저가 고객의 펀드자금으로 투자를 하기 전에 개인 돈으로 미리 같은 주식을 사두는 불법행위다.)
 
박 사장은 한국투자신탁운용 출신이다. 외환위기 발생 직후인 1998년 투신업계에서 수익률 1위를 기록한 ‘스타 펀드매니저’다. 이후 LG투신운용과 메리츠투자자문을 거쳐 지난해 7월부터 현대해상투자자문을 이끌고 있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