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고] 뇌 속을 손금 보듯 … 57. 김우중 회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전경련 회장 시절의 김우중씨.

MRI 이야기를 하기 전에 나와 당시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사이에 있었던 CT 관련 일화를 소개하겠다. 귀국 초기에 나는 CT를 국산화해보고 싶었다. 미국은 물론이고 이스라엘·일본도 CT를 막 생산하고 있을 때였다. CT는 첨단 중의 첨단 기술 장비였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이스라엘 회사에 자문을 해 준 내가 한국에서라고 못할 게 없다고 생각했다.

 1970년대 중반 UCLA에서 나와 휴스 교수가 CT를 개발했다. 내가 푼 CT의 수학적 해법도 거기에 들어가 있었다. CT가 한창 뜨니까 일본 산업계에서 30명 정도가 UCLA로 단체 견학을 온 적이 있다. 그들은 CT에 대해 꼬치꼬치 물어보고, 사진도 찍어 갔다. 그러더니 다음해 일본에서 CT 상품이 개발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소식에 나는 “한국에서 CT를 만들 수 있었으면 한국의 위상이 높아졌을 텐데” 라며 아쉬워했다. 외국에 나가 있으면 다 애국자가 된다고 하지 않은가. 비록 나는 애국자는 아니지만 어떤 일이든 한국과 결부시키곤 했다. 마침 KAIST로 온 나는 CT 국산화를 해봐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KAIST 대학원에서 CT에 대해 강의하기도 했다.

 연구비 확보가 급선무였다. 백방으로 뛰어 다녔다. 처음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이용태 박사를 만나고, 과기처와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도 찾아갔다. 김 회장과는 약 4시간 동안 얘기했다. CT를 국산화하면 수출 전망이 밝다며 설득했다. 김 회장은 연구비 5억원을 내놓겠다고 약속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가뭄에 단비를 만난 것 같았다. 온갖 곳을 다 가도 헛고생만 했는데 드디어 구세주를 만났구나 싶었다. 그러나 그런 기쁨도 한 순간이었다.

 김 회장과의 미팅이 끝난 뒤 동석했던 이경훈 대우 상무와 함께 저녁식사를 했다. 그는 서울대 공대 1년 선배였다.

 “조 교수, 김칫국부터 마시지 마. 지금 CT 개발에 넣을 5억원이 어디 있어요. 1억원도 없어요.” 내가 하도 강하게 얘기하니까 김 회장은 마지못해 빈말로 약속을 해놓고 자리를 피한 것이었다.

 맥이 확 빠졌다. 서울 홍릉 KAIST 연구실로 들어와 곰곰이 생각했다. 당시 우리나라 기술 수준으로는 CT의 부품 생산과 제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다시 깨달아 오히려 잘 된 것 같았다. 각종 정밀기계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만약 CT 개발에 나섰다고 해도 실패의 연속이었을지 모른다고 스스로 위로했다.

 내가 그때 CT를 시작했다면 MRI는 어쩌면 손도 못 댔을지 모른다. 한국 실정에서 연구비로 보나 주변 기술로 보나 CT와 MRI를 병행하기는 어려웠다. 위기를 기회로, 어떤 사건이 닥쳐도 더 좋은 일이 있을 거라며 스스로 위안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내 성격이 그때도 그대로 나왔다.

“그래, 이왕에 될 것 같지 않으니 다른 연구 테마를 찾아 보자.“

 결국 내 손에 잡힌 게 MRI였고, 그 연구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를 상대로 또 한번 경쟁하는 계기가 됐다.

 요즘 신문을 통해 김우중 회장의 근황을 접하면서 나는 그때의 김 회장을 떠올린다. 당시 김 회장이 지원하지 않았던 것이 내겐 오히려 약이 됐다고 생각한다. 세상사는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곱씹게 한 경험이었다.

조장희 <가천의과학대 뇌과학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