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올해도 쟁의 결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현대차 노조)가 27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노조는 30일께 전체 조합원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인 뒤 가결되면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기간이 끝나는 다음달 4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노조 대의원대회의 이날 결정에 대해 노조원 사이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의원대회 쟁의 발생 결의=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 12만8805원(기본급 대비 8.9%) 인상과 2007년 순이익 30%의 성과금 지급, 현 58세에서 60세로의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는 지난해 임금협상 타결 수준에 육박하는 기본급 7만8000원 인상과 통상급의 300% 성과금 지급, 일시금 100만원 지급 등 일괄 타결안을 24일 제시했으나 노조가 거부했다. 노조는 이날 "올해 임단협 노사 간 본교섭을 10차례 열었으나 회사의 제시안이 기대에 못 미쳤다"며 "우리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조합원의 강력한 투쟁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며 만장일치로 쟁의행위를 결의했다. 그러나 노조는 실무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대화로 협상을 타결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노조 안팎의 파업 비판=이날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만난 노조원 김모(47)씨는 "회사가 지난 24일 제시한 1차 협상안이 지난해 수십 차례 협상과 파업을 벌인 뒤에야 내놨던 타결안에 가까울 정도로 파격적이어서 놀랐다"며 "회사의 변화에 맞춰 노조도 무분규 타결의 선례를 남겨보자는 얘기가 현장 조합원들 사이에서 돌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 집행부가 소속된 현장조직인 민투위 홈페이지에도 "회사 제시안은 등 돌릴 수준이 아닌데 조금 못마땅하다고 즉각 파업을 하겠다고 하나" 등 대의원대회의 결정을 비판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울산지역 14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행복도시울산만들기시민협의회'는 28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차 노조는 더 이상 지역경제를 볼모로 한 정치투쟁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울산=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