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권위회복에 눈 돌릴때(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조직범죄」의 형태로 드러나기 시작한 예체능계 입시부정은 대학을 「총체적 부패의 온상」으로 인상지우면서 끝없이 번져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제 대학 당국은 물론,정부도 이 문제를 수습국면으로 돌리는 쪽으로 노력을 집중해야 되겠다. 적발되는 새 혐의점은 계속 철저히 조사하되 어떻게 하는 것이 땅에 떨어진 대학의 권위를 되살리고 부정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 중지를 모아야 한다.
우리는 언제까지고 이번 일을 놓고 개탄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실태가 드러나고 1주일이 지나면서 우리 사회는 비관적 개탄보다는 건설적인 치유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부도덕의 나락으로 함몰하는 대학을 건져내고 소생시켜 우리 사회의 도덕적 건강성을 회복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여기서 정부와 대학에 대해 크게 두 가지를 촉구해 두고자 한다.
첫째로 이번을 계기로 수사당국은 입시범죄를 바닥이 보일 때까지 파헤치고 척결하는 동시에,대학은 뼈를 깎는 아픔으로 수사에 협조하고 자정운동에 나서야 한다.
대학은 그 명예를 되찾기 위해서는 있는대로의 실상을 드러내놓고 진지하게 신뢰를 회복토록 노력해야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당국의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 거기에 더해 예체능분야는 물론,모든 대학과 대학인은 속죄와 자정의 노력을 가시적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안된다.
예체능계 입시부정으로 모든 대학이 지금 사회의 신뢰를 잃고 건전한 존립자체가 흔들리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이번 일을 행여 「있어온 관례」라고 무감각하게 받아들이다가는 부정과는 전혀 무관하게 학문에만 전념해온 다수 학자들까지도 무더기로 같이 취급될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자정의 주역조차 대학안에서 찾기 어렵게 될까 두렵다. 우선 부정합격이 확인된 경우는 무효처리해야 하며,선의의 피해자에게는 공정한 응시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다음은 정부와 대학이 공동으로 대책을 모색하는 일이다.
관련자에 가장 큰 원인이 있겠지만 예체능 교육체제와 선발방법 자체에도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재조기교육을 위해 숨통을 터놨던 교수들의 레슨이 이 지경이 될때까지 방치돼 왔다든지,우리나라의 예체능분야 대학과정이 기능연마보다는 대학이름과 학위에 매달려 대학입학의 수단화하고 있다는 왜곡은 고쳐져야 할 것이다.
예체능분야에 관한한 교육부가 검토하고 있다는 외국의 각종 예체능학교 제도도입은 긍정적으로 연구해 볼 만하다. 종합대학 속에 숨어 대학이 갖는 명성의 반사이익을 노려 입시와 같은 기본바탕을 훼손하는 특정집단이 있다면 이는 과감히 잘라내야 할 것이다.
지금 에체능분야는 혁명적 치유책이 요구된다. 조직범죄의 형태로 시중학원에까지 연결된 교수의 레슨행위는 원천봉쇄돼야 하고 실기시험은 공정성 확보에 우선 초점을 맞추는 관리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은 대학의 자율성을 운위하기에 앞서 부패구조의 완벽한 척결에 지혜를 모을 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