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북 핵실험 비난, 주요국반응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9일 핵실험을 강행하자 미국과 중국, 일본은 국제 사회를 무시하는 행위라며 일제히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행위

미국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적 행위라며 강력히 비난함과 동시에 유엔의 강력한 대응 조치를 촉구했다.

로이터통신은 "백악관이 유엔 안보리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고 전해 미국이 곧 유엔 안보리를 통한 대북 제재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했다.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은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면서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사회의 의지와 동북아에서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동을 삼가 달라는 우리의 요구를 무시하고 도발적 행위를 저지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노 대변인은 또 "미국은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면서 동북아지역 우방들에 대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했다.

백악관은 그러나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고 공식 확인하지는 않았다.

◇중국 격앙, 6자회담 조속 복귀 촉구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기 20여분 전 정보를 입수하고 한국과 미국 일본에 이를 즉각 알린 것으로 전해진 중국은 미국만큼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중국 외교부는 공식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에 전적으로 반대하며 6자 회담에 조속히 복귀할 것을 희망한다"고 발표했다.

성명은 "6자회담 당사국간 합의한 9.19 공동성명을 무시하는 행위"라며 "평양은 상황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즉각 중지하라"고 비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북한의 우방인 중국의 입장이 곤란하게 됐다"며 "북한의 핵실험 계획을 비난해왔던 중국 지도부가 분노할 것이 틀림없다"고 보도했다.

◇총리실 주도 비상대책팀 구성

정상회담을 위해 방한한 아베 신조 총리는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비난했다. 일본은 북한 핵실험 직후 총리실 주도로 대응팀을 꾸려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아베 총리는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한명숙 총리와 오찬을 갖고 "북한의 어떤 시도에도 냉정하게 대처하고 양국간 유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일 공동대응을 강조했다.

◇영국과 호주도 비난 가세

영국은 외무부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은 영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를 도발하는 행위로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을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다"며 "이미 긴장에 휩싸인 동북아를 더 큰 위기로 몰고 가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존 하워드 호주 총리도 "무역과 금융 제재를 포함한 유엔의 제재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