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청강후 일정학점 취득자/고사 거쳐 학위 인정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야간ㆍ계절제학부도 운영/「대학교육위원회」 설치… 학사정책 일임/과학­예술­체육­외국어 등 특수고 증설/교육정책자문회의 청와대 건의
앞으로 4년제 대학을 개방,특정대학에 학적을 두지않고도 다양한 대학에서 전공과정을 청강하여 학점을 취득한 뒤 학위관리기구가 실시하는 학위고사에 합격하면 국가학사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의 개방교육제가 추진된다.
또 기존 대학에 대학교육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이나 전문대 졸업자에게 계절제ㆍ야간제ㆍ정시제 수업을 통해 학점을 취득케 하는 계속 교육학부 설치도 검토된다.<관계기사3면>
교육정책자문회의(위원장 이현재)는 8일 오전 교육정책자문보고에서 노태우대통령에게 이같이 건의하고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일제때 황국신민의 양성목적으로 공포된 국민학교령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적절한 명칭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문회의는 고교교육정상화를 위해 현행 대입제도를 개선,내신+사고력중심 학력고사+대학별고사(전공기초시험등) 등 다양한 전형자료를 활용하되 내신은 현행 30%이상보다 상향조정된 성적을 필수로 반영하고,기타 자료활용은 대학 자율에 맡기며 시험시기는 일정기간내에서 대학이 시험일자를 자율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자문회의는 또 대학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보장키 위해 문교부에 「대학교육위원회」를 설치,대학교육에 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대학의 설립ㆍ폐지ㆍ정원조정 등 고등교육정책을 심의토록 하고 국ㆍ공립대학의 자율권보장을 위해 특수법인화하는 방안도 건의했다.
자문회의는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한 고교교육의 파행적 운영을 정상화하고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의 사회진출을 적극 지원키 위해 과학고ㆍ예술고ㆍ체육고ㆍ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를 확대 설치,필수과목을 최소화하고 선택과목을 다양하게 편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고졸자의 취업준비를 위한 직업과정을 실업계 고교ㆍ전문대ㆍ직업훈련공단ㆍ사업체 등에 설치해 과정수료자는 취업을 알선해 주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전문대ㆍ방통대ㆍ개방대 등의 진학에 특전을 부여토록 건의했다.
자문회의는 전문대 신설을 적극 유도해 수용능력을 확대하고 수도권 지역에도 신설을 허용하며 대공업단지에는 입주기업 공동으로 사립전문대를,중소공업단지에는 국ㆍ공립전문대 설립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