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형 펀드, 이것만은 알자 3. 공부하세요, 펀드 통장 보는 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펀드에 가입하면 은행 정기적금과 마찬가지로 통장을 받지만 펀드 초보자에게는 통장 읽는 법이 만만치 않다. 하지만 간단한 기본 개념 몇가지만 알아두면 자신의 돈이 펀드에서 어떻게 투자되고 있는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잔고좌수와 기준가격=먼저 '잔고좌수'와 '기준가격'이라는 두가지 용어를 알아두자. 10주, 1000주처럼 주식을 세는 기본 단위가 '주'라면 펀드의 기본단위는 '좌'이다. 즉 총 잔고좌수는 내가 가지고 있는 모든 펀드의 수를 말한다.

'기준가격'은 펀드를 사고파는 가격으로 주식으로 치면 주가와 비슷한 개념이다. 통장에선 펀드 1000좌의 가격을 기준가격으로 표시한다. 기준가격이 1100원이라면 1좌당 가격은 1.1원이 된다. 평가금액은 투자자가 지금까지 사들인 펀드들의 현재 가치로 펀드 1좌당 가격에 총 좌수를 곱한 수치다.

권 모씨의 통장을 보면서 이해해보자<그래픽 참조>. 권씨는 6월20일 적립식 펀드에 30만원을 입금했다. 입금일 장종료 후 산출한 펀드의 가격(기준가격)으로 6월21일 펀드를 매수했다.

기준가격이 1050원이므로 펀드 1좌당 가격은 1.05원이다. 30만원을 들여 1좌당 1.05원하는 펀드를 사면 총 28만5714좌(30만원÷1.05원)를 사게된다.

이제 날마다 변하는 주가흐름에 따라 기준가와 평가금액이 움직이게 된다. 7월21일 다시 30만원을 입금하고 기준가격이 1020원인 펀드를 29만4117좌 사들여 총 잔고좌수는 57만9831좌로 늘었다. 그러나 평가금액은 기준가격이 떨어지면서 총 입금액(60만원)에 못 미치는 59만1427원을 기록했다. 60만원을 투자해 8573원을 까먹었으니 수익률은 -1.4%다.

◆결산때는 재투자=이 펀드는 지난해 8월3일 설정된 펀드로 해마다 결산을 한다. 펀드결산일인 3일 결산 기준가격은 1040원이다. 결산 때는 기준가격을 1000원으로 돌리면서 나머지 40원은 재투자한다. 지금까지 사들인 57만9831좌를 1좌당 1원으로 다시 설정하고, 남는 금액을 재투자하면 펀드 2만3193좌를 추가 매입할 수 있다. 결국 총 잔고좌수는 60만3024좌가 된다. 1좌당 가격은 1원이므로 평가액은 60만3024원이 돼 3일 현재 수익률은 0.5%가 된다.

손해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