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은 왜 몸에 좋지 않을까

중앙일보

입력

설탕의 부정적인 면들이 알려지면서 설탕은 더 이상 인기 좋은 감미료가 아니라 우리 건강을 해치는 삼백(三白)식품(소금.설탕.흰쌀)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설탕은 화학제품도 아니고 자연식품인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추출하여 만드는데 왜 우리 몸에 좋지 않을까? 그 이유는 설탕을 정제할 때 우리 몸에 이로운 섬유질과 영양소는 모두 제거되고 정작 설탕에는 '수크로오스(Sucrose)'라는 당분만 남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음식물을 섭취하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포도당과 같은 당을 추출하게 된다. 포도당은 혈액에 흡수되는데 이를 혈당이라고 한다. 적절한 당은 우리가 활동하는데 필수요소이며 특히 두뇌활동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왜 같은 당인데도 설탕은 문제가 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다른 음식물과 달리 설탕은 다른 영양소가 없는 오직 당분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설탕은 별도의 소화작용 없이 우리 몸에 빠르게 흡수되어 혈당 수치를 급격히 증가시키다. 그러면 우리 몸은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대량으로 분비하여 과도한 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한다. 그런 뒤 조금 지나면 또다시 우리 몸의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져 '저혈당현상'이 나타나고 단것을 먹고 싶어한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이 부담을 느껴 인슐린 분비 조절을 잘하지 못하게 된다. 넘쳐나는 글리코겐은 간에 저장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우리 몸 곳곳에 지방산 형태로 저장되어 결국 비만, 당뇨병의 전단계인 '만성저혈당증' 등을 유발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