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주한 日대사 초치···역사왜곡 '군함도 전시관' 강력 항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가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하는 전시 내용이 담긴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이날 일반에 공개했다. [뉴스1]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가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하는 전시 내용이 담긴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이날 일반에 공개했다. [뉴스1]

정부는 15일 일본이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을 소개하면서 일제 강점기 한국인 강제징용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해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항의했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오후 외교부 청사로 도미타 고지(冨田浩司) 주한 일본대사를 초치했다.

이 차관은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있는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한 전시가 포함된 것에 강한 유감을 밝혔다.

이날 일반에 개방된 정보센터는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메이지시대 산업유산 23곳을 소개했는데 이중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도 포함돼 있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에서 “정부는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 내용에 2015년 7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와 일본이 약속한 후속 조치가 전혀 이행되지 않은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특히 일본 정부는 강제 노역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로서 정보센터 설립을 약속했으나 이번에 개관한 센터의 전시 내용 어디에도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력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려와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일본이 한국과 국제사회에 약속한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고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권고한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다시 한번 엄중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은 2015년 7월 하시마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을 포함한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면서 “정보센터를 설치해 '1940년대 일부 시설에 많은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로 노역(forced to work)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는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일본은 유네스코에 두 차례 제출한 후속 조치 이행경과 보고서에서 한국인에 대한 강제노역을 인정하거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 등을 포함하지 않았다. 또 세계유산위원회가 2018년 6월 이 사안과 관련, '당사국 간 대화'를 권고했음에도 일본은 한국 측의 대화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일본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마련된 산업유산정보센터 내부의 모습. [산업유산정보센터 제공]

일본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마련된 산업유산정보센터 내부의 모습. [산업유산정보센터 제공]

백희연 기자 baek.heeyo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