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의약분업´ 인지도 53%로 미흡

중앙일보

입력

일반 국민의 절반 정도는 오는 7월로 예정된 의약분업에 대해 아직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2월 일반국민 1천명과 의.약사,교수,언론인,시민단체 등 전문가 3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은 56.3%, 전문가의 경우 91.2%가 의약분업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과잉처방 및 조제에 대해서는 일반인은 의료기관에서 30.3%가, 약국에서 33.8%가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전문가의 경우 의료기관 72%, 약국 76.2%로 더욱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중인 의약분업의 ´의약품 오남용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일반인(68.3%)과 전문가(81.4%)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일반인의 63.8%와 전문가의 67.4%가 제도시행에 따른 국민 불편과 여건 미비, 의사와 약사간 이권갈등 문제 등을 지적하며 의약분업의 원활한 정착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제도정착의 중요 요건으로는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주변 여건에 대한 정부의 철저한 준비 ▲의사,약사 등 전문가 집단의 자발적인 참여를 우선적으로 꼽았다.

복지부는 이에 따라 언론매체를 통한 공익광고를 비롯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표어 공모행사, 포스터와 간행물 배포 등 홍보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제도시행 준비를 위해 시.도 및 시.군.구별 의약분업 추진기구의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실시된 조사여서 국민들의 현재 의약분업제도 인지도는 상당히 올라갔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국민 홍보와 제도시행상의 미비점 보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