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문 대통령·시진핑 전화통화…신종코로나 사태 협력방안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오후 전화통화를 하고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이날 오후 5시 28분부터 6시까지 32분간 통화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중국의 어려움이 우리의 어려움이다. 중국 인민의 단결된 힘으로 이번 사태를 잘 극복해 낼 것으로 믿는다”며 “신종코로나 대응에 있어 가장 가까운 이웃인 중국 측 노력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이에 시 주석은 신종코로나 관련 중국 정부의 대응조치를 설명하고 “중국 인민은 초기 공포에서 벗어나 전염병을 이길 전망과 희망을 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어려움은 한국의 어려움’이라는 문 대통령의 발언에 매우 감동했다. 한국 정부와 각계는 관심과 위문, 많은 도움과 지지를 보내주셨다”고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어 “어려울 때 서로 협조해 대응하고, 양국이 가까운 이웃으로서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함께 곤경을 헤쳐 나가고 있다”고 했다.

두 정상은 신종코로나 관련 양국의 임상치료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방역 당국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 주석이 먼저 “한 달간의 싸움을 통해 우리는 치료 임상경험을 많이 쌓았다. 우리는 임상치료 경험을 공유할 용의가 있다”고 밝히자 문 대통령도 “한국도 신종코로나 퇴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양국의 정보공유 및 공동대응 협력을 기대한다. 중국은 많은 임상경험을 갖기 때문에 그 정보를 방역당국과 공유해준다면 퇴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두 정상은 시 주석의 올해 상반기 방한을 변함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양국 외교 당국은 시 주석의 방한 시기 등을 조율해 나갈 전망이다.

또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선 북한과 미국의 대화 재개가 급선무이며 북미 양측이 서로 의견이 다른 부분을 봉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관련 메시지를 적극 지지했고, 문 대통령은 남북협력이 이뤄지면 북미대화를 촉진하는 선순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중 정상의 통화는 문 대통령의 취임 후 이번이 네 번째로 신종코로나 사태 발생 이후 처음이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