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제주 4‧3사건’ 72년만에 유감 표명…“양민 희생 사과”

중앙일보

입력

제주 4.3 71주년 추념식을 이틀 앞둔 1일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 내 위패봉안실에 국화가 놓여 있다. [뉴스1]

제주 4.3 71주년 추념식을 이틀 앞둔 1일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 내 위패봉안실에 국화가 놓여 있다. [뉴스1]

국방부가 군‧경 무력 진압으로 수많은 양민이 희생된 ‘제주 4‧3 사건’과 관련해 사건 발생 72년만에 유감을 표명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2일 국방부 관계자는 “방미 중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대신해 서주석 차관이 내일(3일) 혹은 모레(4일) 제주 4‧3 행사가 열리는 광화문광장을 방문해 희생자를 애도하고 (4‧3 사건에 대한) 유감을 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서 차관은 3일 오전 열리는 4‧3 추념식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며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별도 추모공간에서 무고한 양민 희생이 있었던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제주 4‧3’은 ‘사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를 시작으로,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 7개월 동안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을 총칭한다.

당시 군경은 무장대를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무고한 제주도민 1만여 명을 학살하거나 마을 수십 곳을 불태운 것으로 진상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지금까지 대통령 사과는 있었지만, 국방부 차원에서 4‧3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당국자는 “군 당국에서 제주 4·3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며 “따라서 제주 4·3에 투입됐다가 포상을 받은 군인에 대한 포상 취소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정 장관이 (4·3에 대해) 공식 사과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까지 검토 중”이라고만 말했다.

또 노 부대변인은 ‘국방부 당국자가 공식 사과를 하느냐’는 추가 질문에는 “어떤 형식으로든 입장 표명이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