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도시락과 전쟁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학교 급식이 정상화될 때까지 계속 도시락을 준비해 달라는 학교 측의 가정통신문을 받은 김씨는 "날씨가 무더워 아이들이 도시락을 먹다 탈이나 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며 "언제까지 도시락과의 전쟁을 해야 하느냐"고 말했다. 한 달에 4만원(한 명)의 급식비만 내면 됐는데 도시락을 계속 싸면 가계에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걱정도 했다. 최악의 급식 중단 사태로 학부모들이 '도시락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25일 현재 급식이 전면 중단된 학교는 전국 102개 초.중.고(학생 수 8만여 명)에 이른다. 이 때문에 학부모들은 주말을 맞아 도시락 용기를 구입하고 찬거리를 장만하면서 '도시락과의 전쟁'을 벌여야 했다.

맞벌이 부부의 고통은 더 심하다. 서울 숭의여중에 다니는 딸의 도시락 밑반찬을 준비한 강모(어린이집 운영)씨는 "꼭두새벽부터 아침밥을 한 뒤 남편 출근 챙겨주고, 중학생 딸의 도시락까지 싸다 보면 출근하기도 전에 힘이 쭉 빠진다"고 했다. 강씨는 "맞벌이 부부들은 아침에 간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었는데 도시락 때문에 꼭 밥을 지어야 한다"며 "직장에 다니는 여성에게는 시간적으로나 정신적.육체적으로나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퇴근 후에 도시락 설거지를 하고 다음날 찬거리를 준비하는 일이 번거롭다는 것이다.

학부모들의 이 같은 '도시락 스트레스'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결과는 일러야 30일께 나올 예정이다. 따라서 급식이 재개되려면 최소 1~3주 더 걸릴 전망이다.

교육부 신영재 학교체육보건급식과장은 "CJ푸드시스템에 책임이 있다는 판정이 나오면 해당 학교들은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급식업체를 선정해야 한다"며 "이럴 경우 7월 중에나 정상적인 급식이 이뤄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원진.김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