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2차 북·미 정상회담 조속히 열려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12호 06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아르헨티나 국립역사기념공원을 방문해 군부 독재 희생자의 어머니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아르헨티나 국립역사기념공원을 방문해 군부 독재 희생자의 어머니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군부 독재’와 관련된 과거사를 언급했다. G20 정상회의 참석차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아르헨티나 첫 일정으로 국립역사기념공원을 방문했다. 이곳은 아르헨티나 군부 독재 시절(특히 1976~83년) 무차별적인 폭력으로 희생된 3만여 명을 추모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아르헨 G20 정상회의 연설 #트럼프와 단독 회담서도 설득 #군부 독재 희생자 추모 공원 찾아 #“진상규명 중단 요구 없나” 묻기도

문 대통령 부부는 이날 짙은 색 정장 차림으로 비가 내리는 공원에서 실종자와 희생자 이름이 적힌 벽을 따라 400여m를 걸었다. 문 대통령은 호크바움 국립역사기념공원장의 설명을 듣던 중 “지금도 실종자들이 발견되면 벽에 이름을 추가하느냐”고 물었다. 공원장은 “그렇다. 군부 독재 시절엔 비행기로 사람들을 강에 빠뜨린 적도 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가해자들도 추가로 밝혀지면 처벌하는가.”

▶공원장=“지금도 가해자들을 색출하고 처벌을 강구하고 있다. 현재 2400명의 가해자가 처벌됐고, 1200명이 구속됐다.”

▶문 대통령=“혹시 사회 화합 차원에서 진상규명을 그만하자는 요구는 없나.”

▶공원장=“아직도 시민사회는 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평화가 정착되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

아르헨티나는 1955~83년 여덟 차례의 군부 쿠데타가 발생했다. 그중 1976년 쿠데타로 집권한 비델라 정권의 통치는 ‘더러운 전쟁’이라고 불릴 정도로 잔혹했다. 당시 군부 세력은 정치·경제 위기를 극복한다는 명분 아래 반체제 성향 인사들을 납치·고문·살해했다.

문 대통령은 ‘5월 광장 어머니회’ 관계자들도 만났다. 이 단체는 군부 독재 시절 실종자 어머니들이 세운 단체로 41년간 매주 목요일마다 항의집회를 열고 있다. 몇몇 회원은 1994년 민주화가족운동실천협의회(민가협) 등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직후부터 적폐청산 등의 이름으로 과거사 진상규명과 처벌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엔 ‘권력형 적폐’뿐 아니라 ‘생활 적폐’로 대상을 확대했다. 최근 야권 일각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청와대는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여섯 번째 정상회담을 했다. 회담장에서 빠져나와 회담장 옆에서 하는 ‘풀어사이드(pull-asids) 형식의 회동으로 통역만 대동한 상태로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을 설득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G20 정상회의 연설에서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는 평화를 열어가고 있다”며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 완화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진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조속히 열려 싱가포르 합의의 구체적 이행조치들이 신속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부에노스아이레스=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