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저명 학자·작가 “역사의 퇴보” … 트위터선 #NotMyPresident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한 개헌안이 11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통과되면서 중국 내외에서 격렬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마오 비서 출신 “개인숭배의 길로” #외신들 “가장 논쟁적 정치 상황”

중국의 저명 물리학자 허쭤슈(何祚庥)는 홍콩 빈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915년 중화민국을 장악하고 황제 자리에 올랐던 위안스카이(袁世凱)를 언급하면서 “위안스카이는 개헌을 통해 합법적으로 황제의 지위에 올랐으나 결국 사람들의 온갖 비난에 직면해야 했다”며 시진핑에게 막대한 권력을 부여한 이번 헌법 개정을 비판했다. 작가 라오구이(老鬼)도 공개 성명을 내고 “마오쩌둥 의 종신 집권은 개인 독재로 이어졌고, 이는 중국을 암흑시대로 몰아넣었다”며 “장쩌민(江澤民)·후진타오(胡錦濤)도 이를 알기에 헌법의 임기 규정을 철저히 지켰다. 이를 어기는 것은 역사의 퇴보”라고 지적했다.

마오쩌둥의 비서를 지낸 전 공산당 중앙조직부 상무부부장 리루이(李銳)는 홍콩 명보에 “중국인은 개인 숭배의 길로 흐르기 쉬운데 마오쩌둥에 이어 시진핑이 이러한 길을 가고 있다”며 “모든 성의 간부가 시진핑을 옹호하고 신문에는 찬양하는 글뿐이니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다”고 한탄했다.

관련기사

외신들도 이날 중국 헌법 개정안 통과 뉴스를 속보로 전하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이날 중국의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중국 내외에서 높아지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철저한 검열은 지식인과 젊은 직장인들로 하여금 우회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우려를 표시하게 만들고 있다. 많은 이에게 이번 조치는 더 큰 정치적 억압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영국 BBC도 “시진핑의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한 이번 개헌은 중국 사회에 논쟁을 부르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날 ‘시 주석의 종신 집권은 마오쩌둥 시대의 실수를 반복할 위험이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헌법을 고쳐 시진핑 주석에게 기한 없는 권력을 부여한 조치는 중국 현대 역사상 가장 논쟁적인 정치적 사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트위터에서는 ‘스톱시진핑(STOP XIJINPING)’이라는 계정을 중심으로 “나의 주석이 아니다(#NotMyPresident)”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我不同意)”는 태그를 단 게시물이 확산되고 있다.

이영희 기자 misqui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