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적 이탈 거부 땐 선거 중립 포기 간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우선 청문회는 한 후보자의 '당적 이탈'과 '5.31 지방선거 공정관리'문제로 시끄러울 것 같다. 한나라당은 청문회 보이콧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한 후보자의 당적 이탈을 문제 삼고 있다. 그러나 당내 주요 당직자 사이에서조차 "청문회 보이콧은 명분이 약하다"는 주장이 많아 실제 불참 가능성은 낮다.

◆ 당적 이탈과 공정한 선거관리 의지=한나라당 이계진 대변인은 "1991년 첫 지방선거가 실시된 뒤로 13번의 전국 단위 선거에서 국무총리가 집권 여당의 당적을 갖고 선거를 치른 예는 단 한번도 없었다"며 "한 후보자가 당적 이탈을 거부하면 선거 중립을 원천적으로 포기한 최초의 총리란 역사적 오명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후보자가 "책임정치와 당적 포기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거부의 뜻을 보인 데 대해 허태열 사무총장은 "청문회에서 한나라당이 집요하게 설득하고 몰아세우면 한 후보자가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고 본다"고 기대했다. 완전한 당적 포기가 어렵다면 5.31 지방선거 때까지의 한시적인 당적 포기라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 재야적 시각과 가정사=진수희 공보부대표는 "국가보안법 폐지 법안을 발의한 것이나 여당이 찬성한 과거사법에 대해 내용이 후퇴했다며 기권한 것은 일반 국민 대다수의 정서와 거리가 있다"며 "총리로서 직무수행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지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투옥됐던 남편 박성준(65.성공회대 교수)씨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했다. "남편의 문제를 부인과 연관 짓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대세다. 그러나 이방호 정책위의장은 "개인의 신념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이 크다"며 "통혁당 사건은 실체가 확실한 사건이니만큼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당시의 일을 소상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공격적인 대야(對野) 시각=한나라당은 한 후보자가 박근혜 대표에 대해 공세적인 입장을 취해 온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나라당 안에선 "겉으론 온화해 보이지만 이해찬 전 총리만큼이나 대적하기가 쉽지 않을 것" "한 후보자는 여자 이해찬"이란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 내각 장악력 등 자질론=이 정책위의장은 "여성부.환경부 장관을 거친 만큼 국정 경험은 그만하면 됐다고 본다"면서도 "총리가 될 경우 내각 장악력을 갖췄는지 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병국 홍보기획본부장도 "문제는 국정 전반을 꿰뚫어 조정할 능력이 있느냐 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